1. 원인
1) 생물학적 요인 –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음, 다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
(1) 유전학적 이론
- 우울장애의 원인으로 알려진 염색체 혹은 유전자 이상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음
- 쌍생아 중 한 명이 우울 장애인 경우 다른 한 명도 발병할 위험(일란성 쌍생아 50%, 이란성 쌍생아 10~20%)
(2) 생화학적 이론
- 세로토닌, 카테콜아민(DA, NE, E), 아세틸콜린 등의 조절 이상. 신경수용체막의 변화, HPA 축의 활성도 증가로 인한 코티솔의 분비 증가, 갑상성 자극호르몬의 반응 저하
(3) 신경해부학
- 변연계, 기저핵, 시상하부 등 관련 회로 이상 추측
- 기분장애 대상자들의 신경해부학적 변화가 나타나기도 함(뇌측실 확장, 미상핵 축소,
대뇌 피질 전두엽 혈류량 감소, 인지질막 대사장애)
(4) 약물과 신체질환
- 약물, 신체질환으로 기분 변화, 항고혈압 약물의 우울증 유발, 습관성 약물 남용
(암페타민, 바비츄레이트, 코카인, 알코올), 중추신경계 장애, 내과질환, 만성허약 등
2) 심리사회학적 요인
- Freud: 대상의 상실(object loss) 후 생기는 죄의식, 분노, 무력감, 고립감 등이 적절히
표출되지 못한 채 해결되지 않으면 공격적 성향이 내재화되어 나타남: 함입(introjection)
- 대상상실이론: (보울비, 로버트슨, 스피츠) 아동기의 우울성향 부모의 영향, 분리와
이별 경험, 어머니의 부적절하고 일관되지 않은 반응이 성인기 우울증과 연관
- 성격구조이론: 우울증 호발 성격유형(의존적, 수동적, 강박적, 만족을 억제하는 성격)
- 인지이론(Beck): 인지삼제(자기, 세상, 미래 인지적 왜곡), 부정적 사고, 터널시야
- 행동이론(Seligman): 학습된 무기력, 무력감, 절망감, 자신의 환경은 바뀌지 못할 거라는 믿음
3) 스트레스와 환경적 요인: 환경에 의한 과도한 스트레스(애착상실, 주요 생활사건, 역할변화) 어릴 적 경험한 육체적, 성적 학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