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기물실 F(e(CN)6)3-의 Voltammogram 작성 및 자료 해석 예비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명
2. 실험목적
3. 실험원리
4. 시약 및 기구
5. 실험방법
6. 예상결과
7. 주의사항(생략가능)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전기분석 화학
전기분석 화학은 분석물질 용액이 전기화학 전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을 때, 분석물질 용액의 전기적 성질에 바탕을 두고 있는 정성 및 정량 분석법들을 말한다. 전기화학 분석법을 통해 낮은 검출 한계를 얻을 수 있으며, 전기화학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시스템의 특성에 관한 여러 정보들(화학량론, 계면에서의 전하 이동 속도, 물질 이동 속도, 흡착이나 화학 흡착의 정도 및 화학 반응의 평형 상수 등)을 얻을 수 있다.
전기화학 분석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전기화학 측정법은 종종 원소의 특정 산화 상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전기화학 분석법을 이용하면 Ce(II)와 Ce(IV)의 농도를 각각 알아낼 수 있다. 둘째, 상대적으로 저렴한 기기를 사용하므로 경제적인 분석법이다. 셋째, 전기화학 분석법은 화학종의 농도가 아닌 활동도의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는 분석 목적에 따라 장점이 될 수도 있고 단점이 될 수도 있다.
2. 전기화학 분석법의 종류
전기화학 분석법은 크게 계면법과 벌크법으로 나뉘는데, 계면법은 전극 표면과 이 표면에 접촉하고 있는 용액의 얇은 층 사이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기초를 두고 있는 반면에 벌크법은 벌크 용액 내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기초를 두고 있다. 벌크법은 계면 효과를 최소화해야 하므로, 계면법이 조금 더 폭넓게 사용된다.
계면법은 전기화학 전지에 존재하는 전류의 유무에 따라 크게 정적인 방법과 동적인 방법으로 나뉘어진다. 정적인 방법은 전위차 측정을 기반으로 하며, 속도와 선택성면에서 장점을 가진다.
참고자료
· Daniel C. Harris, Charles A. Lucy, 분석화학 제10판, 자유아카데미, 2022, p343-345, 378
· Douglas A. Skoog, F. James Holler, Stanley R. Crouch, 기기분석의 이해 제7판 수정판, Cengage, 2022, p552, 571-573, 630-632, 647-650
· 신가윤, 엄완식, 유동재, 강석우, 김은비, 김현우, 순환 전압전류법의 기초,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v.30 no.6, 2021, p385-38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