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받은 성인간호학실습III 응급실 ER 사전학습보고서입니다.
표로 깔끔하게 정리해서 가독성이 좋습니다.
목차
1. Emergency Cart의 구성
2. Emergency Cart의 약물
3. 응급환자 분류체계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4. 외상 대상자 사정 및 간호
5. 호흡곤란 대상자 사정 및 간호
6. 급성흉통호소 대상자 사정 및 간호
7. 뇌졸중 대상자 사정 및 간호
8. 출혈 및 쇼크 대상자 사정 및 간호
9. CPR 간호
본문내용
골절 Fractures
[사정]
- 뼈의 통증과 조직으로 스며드는 혈액, 림프액 및 삼출물에 의한 부종과 순환장애를 사정
- 얼룩출혈, 압통 및 뼈마찰음(염발음, crepitus)이 있는지 사정
- 검사자는 대상자의 머리, 가슴, 척추, 복부 등 다발성 골절의 가능성을 고려
[간호]
- 기도 확보, 호흡, 순환상태를 사정하고, 신경계와 복부손상이 있는지 확인
- 골절부위를 시진하고 머리부터 발끝까지 신체검진을 하여 열상, 부종, 불구 등을 확인한
- 모든 말초혈관의 맥박을 촉진하며, 특히 골절부위 원위부의 말초맥박을 촉진
- 사지신경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냉감, 창백, 감각 및 운동기능의 소실 등을 사정
- 대상자를 움직이기 전에 부목으로 고정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고 혈액순환을 증진시키며, 조직이 더 손상되거나 폐쇄골절이 개방골절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
- 골절부위 위와 아래의 관절을 고정시킨다. 상지부목을 적용할 때는 기능적 자세를 유지
- 개방골절이라면 습윤 멸균드레싱 시행
- 부목을 댄 원위부 피부의 색깔, 온도, 맥박, 손톱과 발톱의 색깔을 시진하여 사지의 순순환상태를 점검
- 골절부위에 적용한 부목으로 인한 신경학적 결손이 있으면 부목을 풀고 다시 대어줌
복강 내 손상(Intraabdominal injury)
[분류]
관통상 (penetrating)
-복부관통상(탄환에 의한 부상, 자상) - 일반적으로 수술이 요구되는 심각한 상태
-호발부위 : 간이나 소장에서 많이 발생
-손상 정도에 가장 중요한 요인 : 관통속도로, 빠른 속도의 탄환은 광범위한 조직손상 유발
둔기손상 (blunt trauma)
-둔기손상 : 대개 자동차사고, 낙상, 복부구타 등으로 일어남
-복부 외에 가슴, 머리, 사지의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상처가 드러나지 않은 경우에는 찾아내기 어려우므로 지연형 합병증이 발생하기 쉬움
-간, 콩팥, 지라(비장), 혈관에 둔기손상이 생기면 복강 내로 혈액이 누출되기 쉬움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