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하 진단체계를 활용한 지역사회 간호학 결핵 케이스입니다.
A+ 보고서로, 가상사례를 수정 보완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ㅇㅇ구 보건소 결핵환자 관리
- 질병청 시스템을 통해 의료기관에서 치료 중인 ㅇㅇ구 환자 관리
- 현재 ㅇㅇ구 보건소에서는 결핵치료는 하지 않고, 정밀검사, 부작용 관리가 가능한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진행하도록 연계하고 있다.
∘ㅇㅇ구보건소 결핵접촉자 관리
ㅇㅇ구 결핵환자의 가족접촉자들에게 접촉자 검진 안내.
ㅇㅇ구 관내 집단시설에서 결핵이 발생될 경우 역학조사를 통해 접촉자 분류 및 접촉자 검사 진행.
∘접촉자 분류 및 검사방법
-밀접 접촉자: 결핵환자와의 누적 접촉시간 40시간 이상, 흉부 X선 검사, 잠복결핵감염 검사 IGRA 시행
-일상 접촉자: 결핵환자와의 누적 접촉시간 40시간 이하, 흉부 X선 검사
-> 결핵접촉자 검사는 잠복기로 인해 결핵환자와 접촉했다고 인지했던 시점에 1차 검사 진행하고 8~10주 후에 2차 검사를 진행한다. 1차, 2차 검사 결과 비교 후 변화가 없으면 결핵 노출에 무관하다 간주하고, 만약 변화가 있거나 이상이 있는 경우 추가 정밀검사를 받도록 안내한다.
(3) 결핵관리사업목표를 확인한다.
1. 사업의 목적 : 결핵 예방 및 조기발견, 치료를 통해 결핵 발생률을 낮추고 지역사회 내 결핵 전파를 차단하여 구민 건강 보호
∘ㅇㅇ구 결핵관련 사업
➀ 결핵 환자와 접촉하여 검사한 경우가 아닌 결핵예방법 상 잠복결핵감염 검사(IGRA)가 의무인 종사자 및 대상자가 있음: 올해 종사자 무료 검진 사업은 종료(2025기준)
- 의료기관 종사자: 면역력이 약한 환자 접촉하기 때문
- 교육기관 종사자: 면역체계가 완성되지 않은 소아 및 청소년과 접촉하기 때문
- 병역신체검사 대상자: 군복무 기간 중 평소보단 급격히 늘어난 신체 활동으로 면역력 저하될 환경이면서 집단 생활을 하기 때문에 활동성 폐결핵이 발생될 경우 파급력 큰 집단이기 때문
참고자료
· 질병관리청 주요 감염병 통계 https://www.phwr.org/journal/view.html?uid=766&vmd=Full
· 결핵 zero https://tbzero.kdca.go.kr/tbzero/content/getTbStats.do
· 결핵은 무슨 병인가요?, 환자와 보호자가 궁금해하는 61가지 결핵환자 안내서
· ㅇㅇ구 보건소 홈페이지 결핵관리사업안내 https://www
· 2024 지역사회 간호학생 실습 안내서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