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가정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에 대해 '국어교육의 이해' 책을 바탕으로 교과서와 논문 등을 참고하여 만든 자료입니다.
11.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2)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구매하시면 필요하신 내용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문화 가정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에 대해 '국어교육의 이해' 책을 바탕으로 교과서와 논문 등을 참고하여 만든 자료입니다.
11.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2)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구매하시면 필요하신 내용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목차
11.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2)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본문내용
(1)한국어 교육의 개념 및 기본 언어
▶국어교육 vs 한국어 교육
-국어교육: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내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함.
-한국어 교육: 한국어를 외국어 또는 제2언어로 습득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함.
▶외국어 vs 제2언어
-외국어: 모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모국어 사용 환경에서 배울 때의 그 목표 언어
-제2언어: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가진 사람이 자신이 속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배울 때의 그 목표 언어
▶일반 외국인 성인 학습자와 학령기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차이점
일반적인 외국인 성인 학습자
초 중 고 학령기의 학생
일상생활 속에서 한국어로 소통할 수 있는 능력(BICS) 신장에 초점
기본적인 의사소통 한국어 능력
각 교과의 학습에 적응하는데 기초가 되는 학습도구로서의 한국어 능력
참고자료
· 원진숙,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KSL)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 장진,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국어 교과서 단원 개발」, 국내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13. 서울.
· 진상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양상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최미숙 외, 『국어 교육의 이해』, 사회평론아카데미, 201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