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A+++] 보장!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강북구 치매안심센터) 중 보건사업기획서 입니다.
치매와 관련된 보건사업 기획서인만큼, 꼭 강북구가 아니어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수님께 피드백없이 무사히 제출한 자료인 만큼 많은 도움을 드릴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
목차
1. 자료수집
(1) 지역사회를 단위로 하여 간호문제를 사정
2. 자료분석
(1) 내부역량 분석
(2) 외부환경 분석
(3) 전략탐색
3. 우선순위설정 – BPRS / PEARL
4. 목표설정
(1) 인과관계 목표설정
(2) 목표달성에 필요한 시간에 따른 목표설정
(3) 투입 산출 결과 모형 목표설정
5. 전략 및 세부계획 수립
(1) 보건사업의 전략 수립
(2) 실행계획의 수립
(3) 평가계획의 수립
본문내용
- 상징물
(1) 구꽃: 진달래 (강한 생명력과 소박함 등으로 강북구만의 정서가 담겨있고 북한산에 “진달래 능선”이라는 지명이 있다.)
(2) 구나무: 소나무 (상록수로서 운치와 멋이 있고 청렴, 인내, 절개, 의지 등을 상징하며 “우이동 솔밭”이라는 지명이 있다.)
(3) 구새: 까치 (희소식을 알려준다는 길조로서 북한산 전 지역에 많이 서식하며 사철 볼 수 있는 텃새이다.)
② 지역특성
▶ 지리
- 서울특별시 동북단에 위치하며, 구의 동쪽은 노원구·도봉구, 서쪽은 경기도 고양시, 남쪽은 성북구, 북쪽은 경기도 양주시·도봉구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서울의 외곽지역
- 1995년 3월 도봉구에서 분구되어 신설되었으며 구청 소재지는 강북구 수유3동에 위치
- 지형적으로는 서부산지, 중앙저지, 동부산지로 구분되며 서부의 산지는 태백산맥 철령 부근에서 갈라져 서남쪽으로 달리는 광주산맥 지맥의 일부
- 공원녹지 지역은 북한산을 비롯하여 번동 오동근린공원 등 관내에 녹지가 많음
- 면적은 23.60㎢으로서 서울시 면적 605.52㎢의 3.9%에 해당
- 가장 큰 동은 우이동으로 10.95㎢이며 가장 작은 동은 번 제1동으로 0.55㎢
- 법정동: 미아동, 번동, 수유동, 우이동
- 행정동: 삼양동, 미아동, 송중동, 송천동, 삼각산동, 번1~3동, 수유1~3동, 우이동, 인수동
▶ 기후
- 인근에 북한산이 있고 시 외곽에 위치
- 1990년 이후 강수량이 감소하면서 맑은 날씨의 일수 증가 추세
- 하절기에 강수량이 많고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몬순 기후
- 산지가 많고 도심에 근접해 있으면서도 서리와 눈을 많이 볼 수 있기에 계절의 변화 뚜렷
2) 인구학적 특성
[총 인구규모]
- 2024년 10월 기준, 전체 284,255명으로 전년 (289,372명) 대비 감소하는 추세
- 세대수는 전년 대비 759세대 감소하여 143,204세대로 나타남
- 총 인구는 매년 감소하는 추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