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유형
· 감염(infection): 미생물이 민감한 숙주에 침범하여 질병을 일으키는 것
정상조직을 손상시키거나 기능장애를 초래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뚜렷하고 다른 상태와 구분될 때 감염은 질병이 된다 – 감염병
* 집락(colonization): 미생물이 숙주 내로 침입하여 증식만 하고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것
▶ 국소감염: 미생물이 있는 신체부위에만 감염이 국한된 것
▶ 전신감염: 미생물이 퍼져서 다른 부위까지 손상되는 것
▶ 균혈증(bacteremia): 혈액배양에서 미생물이 나타나는 것
▶ 패혈증(septicemia): 균혈증이 전신감염을 초래하는 것
시기
▶ 급성감염: 갑자기 짧은 기간 동안 발생한 것
▶ 만성감염: 천천히 발생하여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수개월에서 수년간 지속되기도 한다.
▶ 의료관련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CAI) - 병원감염, 병원에 와서 감염
· 의료관렴감염(병원감염) - 주로 폐렴, 요로감염, 수술부위 감염, 혈관장치 관련 혈류감염
: 입원 당시 없었던 or 잠복하고 있지 않았던 감염이 입원기간 중 or 퇴원 후(30일 이내) 발생, 입원 48~72시간 이후 발생, 환자 뿐 아니라 병원에서 발생하는 직원들의 감염도 포함
내인성 감염: 인체 내부의 정상상주균의 변화 또는 과잉성장으로 인한 감염
정상상주균: 신체에 정상적으로 상주하는 미생물, 질병 유발 않음, 미생물 성장 억제, 향세균성 물질 분비, 정화작용
면역이 저하된 환자들은 정상균총에 의해 치명적인 기회감염으로 발생 가능
외인성 감염: 인체 외부에 있는 세균에 의한 감염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