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간호학실습] 임상 포트폴리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믿고 구매하셔서 지침서에 참고하시는데 후회없을 겁니다! 실제로 학점 A+ 받은 자료입니다.
목차
1. Nursing Narratives
2. 자기반영
3. 임상에피소드 분석: 개인적 임상 강점 및 약점 확인
4. 개인적 임상 학습목표수립
5. 학습목표 학습
1) 응급환자 분류체계(K-TAS)
2) Seizure 치료 약물
3) 의식수준 사정방법
본문내용
1. Nursing Narratives
응급실 실습 중 만난 김○○(여/71세)은 오전 9시경 연산119 구급차를 타고 Stretcher Cart에 실려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환자의 주호소는 Seizure로 SpO2 92%로 측정되어 Nasal cannula를 이용해 O2 2L/min inhalation 적용 중이었고 이송하면서 20초 가량의 Seizure 발생 후 의식이 저하되었다는 응급구조사의 진술에 의해 K-TAS 1단계로 분류되었다(응급환자 분류체계). 나는 간호사들과 담당의가 대상자를 인수인계를 받는 동안 환의와 이불을 침상에 구비하고, 침대 이동을 도왔으며 대상자의 의식상태와 전반적인 대상자 상태를 확인하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내원당시 대상자의 의식상태는 Semicoma 상태였고, 양 안구 검사 시 양쪽 눈 오른쪽으로 편위되어있고 facial color는 청색증을 나타내고 있지 않으나, pain에 대한 반응은 nipple을 꼬집었을 때 "으~"라고 반응하는 상태였다. Pupil reflex(Rt/Lt): 3mm fixed / 3mm fixed, 모양: Round, 빛 반사 결과: slugish로 사정되었으며, 의사소통이 불가하고 가슴 정중앙에 피멍이 관찰되었으며 양쪽 무릎부터 발까지 요흔성 부종이 발견되어 pitting edema 2+임을 확인하는 것을 관찰하였다(응급실 환자 확인, 신체사정).
참고자료
· 임태호,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 시행현황 분석 연구 (n.p.: 보건복지부 응급의료재단, n.d.), 1-174.
· 한국형 중증도 분류 체계 성인/소아용 교육 프로그램 (Triage Training Resources), 1-138.
· "응급환자 분류기준," 충북대학교병원권역응급의료센터, https://www.cbnuh.or.kr/emergency/sub02_02.do
· 윤은자 외, 「9판 개정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21
· “간질의 치료 및 관리”, 동의의료원약제부 의약정보, https://www.demc.kr/medical_info/02_pro_0804.htm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