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성인간호학] A+ 응급실, 감염관리 저널 리뷰/논문 요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검색 절차
2. 연구요약
3. 연구의 임상적용 방안
4. 나의 의견 및 논의사항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응급실은 환자들이 가진 감염성 질환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간호를 수행하게 되므로 응급실 간호사는 더욱 철저히 감염관리를 해야 한다. 실제로 응급실에서 실습을 진행하며 간호사 선생님들이 환자에게 간호 중재를 수행하기 전 철저한 손씻기와 장갑 착용을 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응급실이 감염관리가 중요한 부서 인만큼 어떤 점이 감염관리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관련감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지 고민해보고자 이 주제를 선정하였다. 논문을 찾기 위하여 00대학교 인제학술정보관 사이트를 통해 ‘DBpia’에 접속하여 ‘응급실 감염관리’를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최신의 논문을 찾기 위해 발행연도를 최근 3년 사이의 논문으로 검색했을 때, 33건의 관련 논문을 찾을 수 있었다. 이 중 1페이지, 4번에 있는 해당 논문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선택하게 되었다.
참고자료
· Ahn JS, Kim YH, Kim M. Performance of preventive actions to be exposed to infection in emergency nurse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Korean Society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5; 22(1):40-47. https://doi.org/10.5953/JMJH.2015.22.1.40
· Kim HH, Park HR.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and self-efficacy on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of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9;21(1):46-5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