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원리
4. 실험기구 및 시약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결론 및 고찰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제목
간으로부터 글리코겐 정성분석
2. 실험목적
1) 간 조직에서 글리코겐을 분리하고 수득률을 구할 수 있다.
2) 요오드 정성실험을 통해서 글리코겐을 분리할 수 있다.
3. 원리
글린코겐(Glycogen)
glycogen: 동물세포에서 탄수화물의 저장 물질로 식물은 녹말과 셀룰로오스, 동물은 글리코겐을 가지고 있다. 글리코겐은 간과 근육에서 많이 발견되고 glycoside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글리코겐은 α(1→4) 결합으로 연결된 포도당 단위들이 긴 사슬을 이루며, α(1→6) 결합을 통해 branch를 형성하는 가지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glycogen이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저장하고 빠르게 동원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글리코겐의 저장 위치는 간과 근육에 있다. 간은 체내 글리코겐의 주요 저장소 중 하나고,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밥을 먹고 난 이후, 혈당이 높아지면서 인슐린이 분비되어 간에서 글리코겐이 합성되고, 저장된다.(Glycogenesis) 반대로 혈당이 낮아지면 글루카곤이 분비되어서 간에서 글리코겐이 분해되어서 포도당으로 방출하게 된다.(Glycogenolysis)
근육은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글리코겐을 저장한다. 신체 활동할 때 근육에서 글리코겐이 분해되어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신체가 필요로 할 때 빨리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소 역할을 하고, 간에서 글리코겐의 합성과 분해는 혈당수치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운동할 때, 에너지 공급원으로 작용해서 운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신체 에너지 균형을 유지하고, 적절한 혈당 수치를 조절해서 신체 활동을 잘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참고자료
·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David L. Nelson, Michael M. Cox)
· Biochemistry(Jeremy M. Berg, John L. Tymoczko, Lubert Stryer)
·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_David R. Lide
· PubChem. (2024). Trichloroacetic Acid.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Retrieved from https://pubchem.ncbi.nlm.nih.gov
· Sullivan, Mitchell A., et al. "A rapid extraction method for glycogen from formalin-fixed liver."Carbohydrate polymers118 (2015): 9-15.
· Matsui-Yatsuhashi, Hiroko, et al.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glycogen in human milk."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65.7 (2017): 1314-1319.
· Sorvall. (2024). Centrifuge Basics. Retrieved from Thermo Fisher Scientific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