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외과계중환자실 사전학습_HAPP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용어 및 약어
2. 주요학습내용
1) 중환자실에서 주로 시행하는 검사 전·후 간호
2) 인공 환기요법과 간호
3) 무의식 환자 간호
4) 신대체요법 : CRRT(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적용 환자 간호
5) 장기 이식 환자 간호
6) 배액관 관리(흉부 배액관, EVD, Hemovac, Barovac 등)
3. 주요 질환
4. 주요수술
본문내용
동맥주사 A-line (arterial line)
[목적]
- 지속적인 혈압을 감시하는데 사용한다.
- 동맥압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말초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해 동맥압을 측정한다. - 동맥혈가스분석(ABGA)을 위한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서 이용한다.
[삽입부위]
① 요골동맥(radial artery) : 동맥관을 삽입하기에 가장 바람직. 피부표면에 가깝고 시술하기에도 안정적이다.
② 상완동맥(brachial artery) : 쇼크나 비만으로 맥이 약하거나 경화성 혈관인 경우는 제외한다.
③ 대퇴동맥(femoral artery) : 심폐정지나 상지의 관류에 문제가 있는 경우 선택한다.
④ 족배동맥(dorsalis pedis artery) : 환자가 과민하여 손보다 발에 잡아야 할 경우, 투석으로 인해 양팔 사용이 안된 경우 등 에 의해 선택되며 요골 동맥에 비해서 혈압이 높게 측정되기 때문에 상박혈압(팔 : 비침습적)와 A-line bp(침습적)를 모두 측정하여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한다.
- 요골동맥(radial artery) 선호한다.
: 표면과 가깝고 촉지하기 쉽고 안정적인 곳이다.
: 효과적인 측부 순환이 있다. 즉, 손으로 흘러가는 혈액이 요골 뿐만 아니라 척골(ulnar)에도 있어 동맥부위 아래쪽으로 허혈이 일어날 위험성이 줄어든다.
: 다른 큰 정맥과 가깝지 않은 동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요골 동맥 주변으로 큰 정맥혈관이 없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