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1. 들어가며
Ⅱ. 본론
1. 문제 파악
1) 아동학대의 개념
2) 아동학대 발생원인
① 부모적가족적 원인
② 사회문화적 원인
③ 코로나로 인한 환경의 변화
3) 아동학대의 유형과 후유증
① 신체적 학대
② 정신적 학대
③ 성적 학대
4) 아동학대 현황
5) 아동학대의 가능성이 있는 지표
2. 해결방안
1) 아동학대 관련 국내 제도와 서비스
① 아동학대 관련 조항
② 해외의 아동학대 관련 제도
③ 아동학대 관련 서비스
2) 해결방안 제언
① 국민의 인식 제고
② 부모의 인식 개선
③ 법적 처벌 강화
④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육
Ⅲ.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Ⅰ. 서론
들어가며
인터넷 기사를 볼 때, 실시간 검색어에서 가장 보고 싶지 않은 단어가 있다. ‘아동학대’가 바로 그것이다. ‘어린이집 아동학대’, ‘라면 화재 아동’, ‘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다는 이유로 후라이팬에 아이의 손을 지진 계부’, ‘아이가 거짓말을 한다며 캐리어에 가두고 아이를 숨지게 만든 계모’ 등 아동학대와 관련된 기사가 매년 더욱더 잔혹한 방법으로 올라온다. 미래에 아동전문간호사를 꿈꾸는 내게 해당 기사들은 안타까움을 넘어 분노를 일으키며, 그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고민하게 만든다. 따라서 더 이상 아동학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아동학대의 실태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문제 파악
1) 아동학대의 개념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에 의해 아동의 건강과 복지를 해하거나 정상적인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성적 폭력 또는 가혹행위 및 아동의 보호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유기와 방임을 말한다.
의료적으로 아동학대란 정서적 박탈, 영양부족을 포함한 부적합한 아동양육의 일부분으로,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도구나 자신의 신체를 활용하여 아동에게 신체적, 정서적, 성적 폭력을 행하거나 방임함으로써 아동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거나,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을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참고자료
· 김화미(2017), 아동학대범죄의 예방 및 대책 방안, 아동보호연구, Vol.2 No.2, 67-94
· 김희경(2016), 아동학대 대응에서 공공의 역할 들여다보기, 통합인문학연구, Vol.8 No.2, 89-99
· 김홍미,김효진, 아동학대 및 방임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128호, 14-25
· 류이근, 임인택, 임지선, 최현준, 하어영(2019), 아동학대에 관한 뒤늦은 기록, 서울: 시대의창, 54-102p
· 보건복지부(2018),아동학대(미상),
·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3680
· Fuller-Thomson, E., & Brennenstuhl, S. (2009년). Making a link between childhood physical abuse and cancer: results from a regional representative survey. Cancer, 115(1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