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과목: 시스템/네트워크보안
주제 : 인공지능시대의 정보보호의 변화와 미래
목차
I. 서론
II. 본론
1.인공지능의 정보보호 문제점
1)생성형 AI의 이용
2)동의없는 데이터 수집
3)딥페이크 논란
4)인공지능 창작물
2.인공지능의 정보보호 변화 및 미래
1)머신러닝과 딥러닝을 이용한 기술
2)동작기반 감시 기술
3)패턴 및 시그니처 기반 탐지
4)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입법
3.나의 생각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오늘날 인공지능은 안 쓰이는 분야가 없을 정도로 보편화되었다. 알파고를 통해서 우리에게 인식된 인공지능 기술은 현재 데이터 학습을 통한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을 거듭하면서 정보보호의 문제점이 떠오르고 있다.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는 chat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의 경우 민감한 개인정보가 수집되고, 이것이 악용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은 학습 시 데이터가 필요하다. 자신의 동의 없이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오늘날에는 인공지능이 다양한 창작물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이 과정 속에서 개인의 창작물이 위협을 받고 있다. 이처럼 인공지능은 현재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한이 필요하다. 앞으로 인공지능의 정보보호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서 발전을 거듭하게 될 것이며, 기술의 트렌드에 따라서 관련 법도 생길 것으로 예측된다.
Ⅱ.본론
1.인공지능의 정보보호 문제점
1)생성형 AI의 이용
챗GPT가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생성형 AI 챗봇과 대규모 언어 모델이 사이버보안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 것인지에 대해서도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민감한 비즈니스 정보를 다루는 자가학습 알고리즘이 역으로 공격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인공지능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보안 위험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다.
참고자료
· Michael Hill, 생성형 AI로 사이버보안을 강화하는 방법, 삼성SDS, 2023.11.13.
·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how-to-improve-cyber-security-with-generative-ai.html
· 전승재 and 고명석. (2021). 이루다 사건을 통해서 보는 개인정보의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활용 가능성. 정보법학, 25(2), 103-133.
· 주가영, 보안업계도 AI가 싹 바꾼다, 테크월드, 2024.01.23.
· https://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0151
· 박성준. "인공지능 창작물 보호제도에 관한 법적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서울
· 배한님, "내 그림 훔치지마"…네이버웹툰 도전만화서 'AI웹툰 보이콧', 머니투데이, 2023.06.04.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6041454153826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