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염 위험성(Risk for Infection)
2. 출혈 위험성(Risk for Bleeding)
3. 영양 불균형: 체내 요구량보다 적음(Imbalanced Nutrition: Less Than Body Requirements)
4. 피로(Fatigue) 또는 활동지속성 장애(Activity Intolerance)
5. 통증(Acute/Chronic Pain)
6. 불안(Anxiety) / 두려움(Fear)
7. 가족대처 비효율(Ineffective Family Coping)
본문내용
1. 감염 위험성(Risk for Infection)
관련 요인: 백혈병에 의한 백혈구 기능 저하(호중구 감소), 항암치료로 인한 면역력 저하
1)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
• “아이 몸이 너무 약해져서 감기에 자주 걸리는 것 같아요.” (부모 진술)
• 아동: “피곤하고, 목이 자꾸 따끔거려요.”
2)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 CBC 결과 ANC(절대 호중구수) < 1,000/μL 혹은 극심한 호중구감소(neutropenia)
• 항암치료 진행 중(면역기능 저하)
• 발열(≥38℃), 인후통, 구강 궤양, 소변·대변 배양 검사에서 세균·진균 양성 가능성
3) 사정(Assessment)
• 백혈병 및 항암치료로 인해 호중구 감소, 면역 방어기전 손실로 쉽게 감염 발생.
• 감염은 패혈증,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으로 진행할 수 있어 예방이 핵심.
4) 중재(Interventions)
1. 무균술 준수 & 보호적 격리
• 병실 내 방문객·의료진 마스크 착용, 손 소독 철저
• 인원이 많거나 감염 위험 높은 환경 피하기
활력징후·감염 징후 관찰
• 체온, 맥박, 호흡수, 혈압 정기 측정
• 피부 발적, 구강 궤양, 호흡기 증상 등 세밀 관찰
예방적 항생제·항진균제 투여(의사 처방)
• 호중구 수치 심각할 때 예방적 약물 사용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