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알코올성 간경화증(alcoholic liver cirrhosis) 케이스스터디 A+ 보장(간호과정 2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사례대상자 사정
Ⅱ. 문헌고찰
Ⅲ. 간호과정
Ⅳ. 비판적 사고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경화증(liver cirrhosis)의 정의
- 넓게 퍼진 섬유증(fibrosis)과 소결절(nodule)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이며 진행성 질환.
- 섬유증에 의해서 혈액, 담즙, 간 대사물질 등의 흐름이 변화함.
- 괴사 후(거대결절 혹은 독성으로 유도된), 담즙성, 울혈성 및 Laennec’s(알코올, 소결절, 문맥성) 경변증 등 4가지 형태.
alcoholic liver cirrhosis의 원인
- 광범위한 반흔(scar)이며 원인이 되는 알코올의 양은 사람마다 다름.
- 음주형태나 음주 종류보다도 매일의 알코올 소비량이 더 중요한 요인임.
alcoholic liver cirrhosis의 위험요인
- 알코올의 남용, 알코올 중독증의 가족력, 담관간경화증, 일차적으로 간내 답즙정체, 2차적으로 간외 담관의 폐쇄, 약물(acetaminophen, methotrexate, methyldopa, isoniazide), 영양상의 문제
병태생리(Pathophysiology)
- 간세포의 광범위한 파괴-> 혈행을 변화시키고 림프계와 담관에서의 흐름의 변화를 초래
증상 및 합병증
- 담즙정체와 황달(jaundice)
- 문맥고혈압(portal hypertension)으로 인한 식도정맥류(esophageal varix),
- 복수(ascites)
- 간성뇌병증(Hepatic encephalopathy)
사정(Signs & Symptioms)
-허약감, 피로, 체중감소, 식욕부진(anorexia), 오심(nausea), 구토(vomiting), 복통, 복수(ascites), 불규칙적인 월경, 발기부전, 토혈(hematemesis), 거미모양의 혈관종, 높은 AST, 빌리루빈(bilirubin)
치료(Treatment) 및 수술
- 비타민B와 지용성 비타민(A,D,E,K)를 투여
- 충분한 휴식
- 알코올과 간독성 약물을 삼가
- 금주 단체와 같은 지지 집단의 지원을 받도록 연결
- 금주에 대한 필요성과 이점에 대해 교육
간호중재(Nursing care)
- 비타민과 무기질을 교정
참고 자료
송도선 (2019), 「소화기내과복수와 간성뇌증의 치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p.66
간보는 의사언니 유정주, 「간경화 환자의 식사: 3가지 핵심」, 유튜브 채널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21, p.513, 517, 520, 521, 525
이경희 외, 「정신건강간호학 제2판 수정판」, 정문각, 2021, p.114, 493~497
약학정보원, 검색어: 5%Dextrose Inj.(1000mL) inno.N, Hepamerz inj. 5ml,, 우르콜정200mg,
Godexcap [1CAP] , Lanston LFDT tab [30mg], mosapride [5mg], Lacidofil Cap
[5mg]외 14개
채희복, 알코올 간질환,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의학연구소, 2009;53:275-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