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IZ 발명 원리로 조사한 건축가 알바 알토와 그의 공예가적, 발명가적 철학
- 최초 등록일
- 2025.02.02
- 최종 저작일
- 2024.11
- 7페이지/ MS 워드
- 가격 3,000원
소개글
창의적사고 수업의 TRIZ 발명 원리가 적용된 사례를 조사한 레포트입니다. 건축가 알바 알토와 그의 건축물과 공예품을 TRIZ 발명 원리에 접목하여 조사하였습니다.
목차
1. 서론
1.1 알바 알토에 대하여
1.2 조사 배경
2. 본론 - TRIZ 발명원리: 직선형을 곡선형으로 바꾸고, 포개어라!
2.1 사보이 꽃병과 곡선적 요소
2.2 스툴60과 곡선적, 적층(stack)적 요소
2.3 도예 작업에 접목할 수 있는 점들
3. 본론 2 - 알바 알토의 남다른 스칸디나비아적 사고
3.1 핀란디아 홀에서 발견하는 환경 철학
3.2 파이미오 결핵요양소에서 발견하는 인본주의 철학
4. 결론
본문내용
1.1 알바 알토에 대하여
알바 알토(Alvar Aalto, 1898-1876)는 핀란드의 디자이너이자 건축가로, 현대 디자인과 건축에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모더니즘을 일부 비판하여, 인본주의적이며 자연으로부터의 건축을 지향했으며, 그로 인해 유려한 곡선의 디자인을 탄생시킴으로써 공예가의 면모도 돋보인다.
1.2 조사 배경
사실 현대의 모더니즘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디터 람스를 조사할 작정이었다. 하지만 그가 오늘날까지 그러한 영향을 미쳤다는 반증일지는 몰라도, 지금의 보편적인 디자인 이념과 일맥상통한다는 생각이 들어 무언가 색다른 롤모델을 찾고자 했다. 그러다가 우연히 알바 알토가 디자인한 사보이 꽃병의 세련된 곡선에 시선이 꽂히게 되었다.
2.1 사보이 꽃병과 곡선적 요소
사보이 꽃병, 혹은 알토 꽃병은 1937년, 그가 파리 세계 박람회를 위해 출품한 높이 60cm의 유리 공예품이다. 사보이 레스토랑의 전체적인 인테리어와 맞춤형 가구 및 제품 디자인을 의뢰받게 되었을 때 제작되어 사보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핀란드의 빙하수로 형성된 호수의 올록볼록한 모습에 영감을 받아 탄생했다고 주로 알려졌지만, 사실 스칸디나비아의 소수민족인 ‘사미족’의 여성 드레스를 참조하여 만들어진 디자인인 것으로 보인다. 그는 기하학적인 형태를 원하지 않았고, 자연에서 형태를 찾고자 하였다.
참고 자료
"Eskimonaisen nahkahousut eli Savoy-maljakko täyttää 70 vuotta", formin.finland.fi (in Finnish), 2012년 7월 8 수정, 2024년 11월 3일 접속.
Harrison, Bernice, "Design Moment: Stool 60, 1933", The Irish Times. 2024년 11월 3일 접속.
Luxford, Charlotte (20 March 2017), "A Brief History of Alvar Aalto's Stool 60", Culture Trip, 2024년 11월 3일 접속.
"시간으로 지은 건축, 핀란디아 홀," 브런치스토리, 2021년 11월 18 수정, 2024년 11월 5일 접속, https://brunch.co.kr/@hongflow/46.
"북유럽 건축의 아버지, 알바 알토 (Alvar Aalto)," 네이버 블로그, 2019년 1월 2 수정, 2024년 11월 5일 접속, https://blog.naver.com/toplovers/221432338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