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실습 케이스(농가진, 접촉성 피부염)
- 최초 등록일
- 2025.02.02
- 최종 저작일
- 2024.03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실습 케이스(농가진,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A.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B. 자료수집
C. 간호과정
D. 참고문헌
본문내용
A.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접촉성 피부염 Contact dermatitis>
1. 정의
접촉성 피부염은 습진(Eczema)의 하위 질병으로, 외부물질과의 접촉에 의하여 생기는 모든 피부염을 말한다. 접촉물질 자체의 자극에 의하여 생기는 ‘원발성(자극성) 접촉피부염’과 자극물질이 피부에 침투하여 알레르겐으로 작용하여 면역학적 기전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인 ‘알레르기 접촉피부염’으로 나뉜다.
2. 원인
(1) 원발성(자극성) 접촉피부염(Irritant contact dermatitis)
일정한 농도의 자극물질에 접촉하였을 때 거의 모든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피부염이다. 농도가 높은 산이나 알카리 같은 물질에 접촉했을 때 즉시 화상의 형태로 나타나거나, 자극이 약한 경우 장기간 반복 접촉했을 경우에 발현된다. 소위, 주부습진은 후자의 한 예이다. 특히 피부 상태가 젖어있는 경우 피부의 방어벽이 손상되어 쉽게 피부염이 유발되는데 주로 물, 비누, 세제, 용매, 윤활유, 산, 알카리, 유리섬유, 먼지 등이 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2) 알레르기 접촉 피부염(Allergic contact dermatitis)
1차 원인 물질이 피부에 침투하여 발생하는데 5~21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 동일 물질 또는 화학적 구조가 유사한 물질에 재차 접촉되었을 경우 피부염이 발생하게 된다. 원인 물질이 피부에 쉽게 침투해야 하므로 용액 상태인 경우가 많고 피부가 두꺼운 손바닥, 발바닥에는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습하거나 더운 환경, 장기간 젖어있는 피부 상태에서는 쉽게 발생 된다. 원인 물질로는 화장품의 향료, 방부제, 기제, 니켈, 크롬, 코발트 같은 금속, 살균제, 옻나무 같은 식물, 합성수지, 연고 등이 있다.
참고 자료
삼성서울병원 건강칼럼, 접촉 피부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09107&cid=63166&categoryId=51019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접촉피부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72&cid=51007&categoryId=51007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 개정증보판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농가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781&cid=51007&categoryId=51007
약학 정보원, dextrose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2364
약학 정보원, 어드반탄 크림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2680A0096#
Nursing Diagnosis :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2021-2023, 12th Edition.
제8판 성인간호학(하권) 유양숙 저, p762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 문화사
약학 정보원, ‘클린조’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10A0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