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ase study 조현병 casestudy_schizophrenia case study간호진단4개 간호과정4개
- 최초 등록일
- 2025.01.30
- 최종 저작일
- 2024.02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A+case study 조현병 casestudy_schizophrenia case study간호진단4개 간호과정4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대상자 일반적 정보
3. 건강력
4. 인격발달단계
5. 가족력
6. 정신사회적 상태 검진
7. 의학적 진단 및 치료계획
8. 간호과정
9.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 정서적 둔마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일부 환자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고 만성적인 경과를
보여 환자나 가족들에게 상당한 고통을 주지만, 최근 약물 요법을 포함한 치료법에 뚜렷한 발전이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에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질환이다.
2011년 정신분열병이란 병명이 바뀐 것 이다.
(2) 조현병의 단계
- 급성기(I단계): 기능의 상실로 인한 심한 파괴적 증상(예: 환각, 망상, 무감동, 철회)이 시작되거나 악화되어 돌봄의
필요성이 증가하거나 입원이 필요할 수 있다.
- 안정기(II단계): 증상이 감소하며, 이전의 기능 수준으로 돌아간다.
부분 입원 또는 위기관리센터의 거주, 또는 그룹홈에서의 감독과 돌봄이 필요하다.
- 유지기(III단계): 대상자가 발병 전의 기능을 회복하거나 그에 가까운 기능을 한다. 증상이 없거나 감소한다.
기능 수준은 대상자가 지역사회에서 살 수 있을 정도이다. 이상적으로는, 잔류증상이 감소하거나
전혀 없는 상태로 회복한다.
(3) 조현병의 진단기준 ((DSM-5)에 따른 진단 기준)
A. 특징적 증상
다음의 증상 중 2가지 이상 존재하며, 이들 중 최소한 1개의 증상은 (1) 망상, (2) 환각 혹은 (3) 와해된 언어에 해당되어야 한다. 상기 증상은 1개월 중 상당 기간 동안 존재해야 한다.
(단, 성공적으로 치료된 경우는 기간이 짧을 수 있다).
(1) 망상
(2) 환각
(3) 와해된 언어 (예: 빈번한 탈선 또는 지리멸렬)
(4) 심하게 와해된 행동이나 긴장증적 행동
(5) 음성증상, 즉 정서적 둔마, 무논리증 또는 무의욕증
B. 증상으로 인한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영역에서의 기능 저하
발병 이후 상당 기간 동안 직업이나 대인관계 또는 자기관리와 같은 주요 영역의 한 가지 이상에서 기능 수준이 발병 이전과 비교하여 현저히 저하된다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발병하는 경우에는 대인관계, 학업, 또는 직업 분야에서 적절한 성취를 이루지 못함)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조현병 [schizophren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김수진 외 공저(2016). 정신건강 간호학 - 현문사
정신건강 간호학 - 정담미디어
정신건강 간호학 -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