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과 다문화
- 최초 등록일
- 2025.01.29
- 최종 저작일
- 2021.1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대한민국과 다문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우리나라는 명백한 다문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그 예로 밖에 외출하면 길거리에서 쉽게 외국인들이 대화를 하는 것을 볼 수도 있고, 아파트에 있는 놀이터 안에서도 외국인 친구들이 놀고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그러던 와중 봉사활동을 할 곳을 찾다가 러시아 초등학생 친구들의 공부를 봐주는 봉사활동을 알게되었다. 러시아 친구들을 또래보다 공부의 진도가 느린 것을 몸소 체험하고 다른나라의 언어로 말해 서로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초등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다. 내가 봉사활동은 하는 곳은 외국인 친구들만 있고 1대 2정도로 수업을 진행해 개개인적으로 친구들을 볼 수 있지만 다수를 함꼐 가르쳐야하는 학교에서는 이 친구들이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이에따라 한국사회의 다문화 학생과 학교에 대한 현황과 정책을 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과제에 대해 고민해볼려고 한다.
2020년 교육통계서비스에서 제공한 통계결과에 따르면 2012년에 비해 2020년 대한민국의 초 중 고 학생 수는 20% 감소한 반면 다문화 학생 수는 2배가 넘는 숫자라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의 학생 중 다문화 학생차지비율을 초 중 고 평균 2.7%로 높은 수치에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는 이제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으며 새로운 교육소외계층으로 다문화 학생들이 떠오르고 있으며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다문화가족지원법 제 2조에 따르면 다문화 가족이란 ‘결혼 이민자 또는 귀화 허가를 받은 자와 대한민국 국적자로 이루어진 가족이며, 국제결혼 가족, 외국인 가족, 새터민 가족 등으로 나눌 수 있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분명 그리고 이들은 위한 다양한 제도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모경환, <다문화교사교육 현황과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4호 (2009.12)https://www.earticle.net/Article/A114645
다문화가족 중도입국청소년-대학생 멘토링에 관한 질적 연구: CIPP 평가모형을 중심으로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600340
2021 다문화교육 지원계획-교육부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6&lev=0&statusYN=W&s=moe&m=0302&opType=N&boardSeq=83613
김정희, 정정희.(2021).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동향 분석.어린이문학교육연구,22(3),203-225.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611112
다문화 학생-교사용
http://www.gne.go.kr/upload_data/board_data/BBS_0000364/151141953882704.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