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A+ seizure&epilepsy 간호과정
경계하는미어캣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seizure&epilepsy 간호과정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3개 포함된 자료입니다.
간호중재 상세하게 적혀있어서 교수님이 칭찬하신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03seizure & epilepsy ···································································03-07
1. 원인
2. 임상증상
3. 진단
4. 치료
5. 간호중재
6. 경과 및 합병증
Ⅱ. 사례 ······························································································07
Ⅲ. 간호진단 ························································································08
Ⅳ. 간호과정 ························································································08
1.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흡인 위험성 ·················································08
2. 경련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09
3. 발작장애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10
Ⅴ. 참고문헌 ························································································11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seizure & epilepsy
<정의>
- seizure : 뇌의 신경원에서 전기 에너지가 갑자기 불수의적이고 비정상적으로 과다하게 방전되는 현상
- epilepsy : 반복적으로 발작이 일어나는 만성장애로 의식과 운동, 감각, 행동 변화를 일으킴. 유전적 원인으로 인한 발작은 성인 간질의 30%, 아동 간질의 60%를 차지
1. 원인
[발작의 원인]
- 특발성(원인을 모르는 경우)
- 출생 전, 후의 뇌 손상
- 뇌종양
- 감염, 특히 수막염이나 뇌염
- 결절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유전 질환
- 뇌 혈관의 구조적인 이상
- 독성 물질을 먹거나 마시는 경우
- 대사 이상
2. 임상증상
1) 전신성 긴장-간대 발작(대발작)
의식을 잃고 바닥에 쓰러지는 유형이다. 신체의 모든 근육이 일시에 수축하여 일시적으로 수축 상태가 지속되거나, 율동성 수축을 보인다. 일시적 수축이나 율동성 수축 두 가지가 동시에 나타나기도 한다. 간혹 대변이나 소변을 볼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는 발작이 1분 이하로 진행되며, 곧이어 졸음증이나 정신 착란이 나타나다. 이때 근육통이나 두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2) 실신 발작(소발작)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의식을 잃는 유형이다. 일반적으로 자세의 변화가 없다. 수 초간 멍하니 응시하거나, 빠르게 눈을 깜빡이기도 한다. 대개 아동기나 사춘기 초반에 시작한다.
3) 간질 지속증
발작이 20분 넘게 지속되거나, 의식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채 발작이 계속 반복되는 유형이다. 생명이 위급한 응급 상황에 해당한다.
4) 부분(초점성) 발작
부분(초점성) 발작으로는 단순 부분 발작과 복합 부분 발작이 있다. 어떠한 형태의 부분 발작이든, 뇌의 어느 부위에서 시작한 전기 활동이 나머지 대뇌 겉질 전체로 퍼지면 대발작이 될 수 있다.
- 단순 부분 발작
전기 방전이 매우 국소적으로 일어나는 유형으로, 환자는 각성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오직 느낌, 감각, 운동 등에만 증상을 느낀다. 이 발작이 지속되는 동안 환자는 깨어 있으며 각성 상태를 유지한다. 이 발작의 증상은 뇌의 침범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① 신체의 한 부분을 격동적으로 움직임
② 주변 환경이 왜곡됨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발작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51
삼성서울병원 질환정보 간질의 진단방법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healthSub02View.do?content_id=1328&cPage=1&DP_CODE=EPI&MENU_ID=003&ds_code=D0004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