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허약증후군(Elder frailty syndrome)』 간호과정입니다.
이 간호진단은 예전에는 Frail Elderly Syndrome으로 주로 허약노인증후군으로 불렸고, 2024년에 NANDA 간호진단이 개정되면서 이후 Elder frailty syndrome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어요. 두 간호진단은 같은 간호진단이고, 이름만 바뀐 거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한글 표기는 노인허약증후군, 허약노인증후군 등으로 문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다른 번역 표기이며 모두 다 하나의 동일한 간호진단이라는 점 참고해주세요. 의학적으로는 허약노인증후군, 노쇠증후군, 노인증후군 등 다양한 표현으로 논문 등 관련 학술자료를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식욕부진, 활동감소 등이 있고 허약감을 호소하는 노인 대상자의 간호과정 작성 시 일반적으로 대부분 다 참고하시기 좋고, 특히 노인간호학 실습하실 때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직접 문헌 조사하고 정성들여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내용 모두 잘 나누어 풍부하게 중재를 작성했고 이론적 근거가 제대로 되어 있으며 간호목표, 간호평가까지 모두 완성도 높은 간호과정입니다. 간호중재는 총 18개를 작성했습니다.
좋은 자료로 학업에 시간을 절약하시고 효율성을 올리실 수 있길 진심으로 바라겠습니다.
A+받으세요!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노인허약증후군(Elder frailty syndrome)』 간호과정입니다.
이 간호진단은 예전에는 Frail Elderly Syndrome으로 주로 허약노인증후군으로 불렸고, 2024년에 NANDA 간호진단이 개정되면서 이후 Elder frailty syndrome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어요. 두 간호진단은 같은 간호진단이고, 이름만 바뀐 거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한글 표기는 노인허약증후군, 허약노인증후군 등으로 문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다른 번역 표기이며 모두 다 하나의 동일한 간호진단이라는 점 참고해주세요. 의학적으로는 허약노인증후군, 노쇠증후군, 노인증후군 등 다양한 표현으로 논문 등 관련 학술자료를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식욕부진, 활동감소 등이 있고 허약감을 호소하는 노인 대상자의 간호과정 작성 시 일반적으로 대부분 다 참고하시기 좋고, 특히 노인간호학 실습하실 때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직접 문헌 조사하고 정성들여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내용 모두 잘 나누어 풍부하게 중재를 작성했고 이론적 근거가 제대로 되어 있으며 간호목표, 간호평가까지 모두 완성도 높은 간호과정입니다. 간호중재는 총 18개를 작성했습니다.
좋은 자료로 학업에 시간을 절약하시고 효율성을 올리실 수 있길 진심으로 바라겠습니다.
A+받으세요! :)
목차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1) 진단적
2) 치료적
3) 교육적
5. 이론적근거
6. 간호수행
7.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본문내용
1.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1) “조금만 움직여도 너무 피곤해요. ”
(2) “밥도 별로 먹고 싶지 않고 입맛도 없어요 ”
(3) “혼자 움직이다 넘어질까 봐 무서워요. 전에도 넘어져서 고생을 많이 했어요. ”
(4) “이게 다 고질병이지 낫겠어. 온몸에 기운이 하나도 없고...”
(5) “집에 혼자서 있으면 나 혼자 생활이 잘 안되니까, 어떡하겠어요. ”
< 객관적 자료 >
(1) 만 83세 고령으로, 만성적인 허약과 체중 감소로 인해 3주 전 요양병원에 입원.
(2) 진단명: 만성질환으로 근감소증(Sarcopenia), 골다공증(Osteoporosis), 골관절염 (Arthritis)을 가지고 있음.
(3) 최근 6개월 동안 체중 7kg 감소함.
(4) (1/11) 키: 153cm, 몸무게: 42kg, BMI(체질량지수): 17.9 ⇒ 저체중 확인됨.
(5) 침상에서 화장실 이동 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임.
(6) 근육량 감소로 인해 물건을 들기 어렵고 자주 떨어뜨리는 모습을 보임.
(7) 하루 대부분을 침대에서 보내며, 전반적인 활동 수준이 매우 낮은 상태임.
(8) 독립적으로 목욕 및 개인위생 유지가 어렵고 타인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함.
(9) (1/11) 혈액검사 상 일부 영양소의 결핍이 확인됨.
⇒ 혈청 비타민 D: 18ng/mL, 헤모글로빈(Hemoglobin): 10.8g/dL, 칼슘(Calcium): 8.2mg/dL, 총단백질(Total Protein): 5.9g/dL
2. 간호진단
#. 신체 노화, 근감소, 영양 부족 및 활동성 저하와 관련된 노인허약증후군(Elder frailty syndrome)
*NANDA 정의[2024-2026년 NANDA 간호진단 정의 기준]
⇒ Dynamic state of disequilibrium that includes deterioration in functions and reserves across physiologic systems.
: 생리적 체계의 전반적인 기능과 에너지 보존능력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신체 균형이 깨진 상태를 뜻함.
참고자료
· 최신기본간호학(2020)/ 수문사/ 송경애 외
· 성인간호학Ⅰ(2019)/ 수문사/ 윤은자 외
· 성인간호학Ⅱ(2019)/ 수문사/ 윤은자 외
· 노인간호학(2024)/ 현문사/ 한국노인간호학회
·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이동숙 외
· 간호과정의 실제(2019)/ 현문사/ 최순희 외
·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13th Edition 2024–2026/ Nanda International/ Thieme Medical Publishers
· 학술자료: 『연령집단에 따른 노인의 허약(Frailty) 예측요인 분석: 연령에 따른 분석』(2017)/ 보건사회연구/ 37(3): 139-169/ 조성은 외
· 학술자료: 『노인에서의 노쇠와 노인증후군』(2024)/ 대한가정의학회지/ 14(4): 172-176/을지대학교 의과대학/ 김원석
· 학술자료: 『국내 노인의 허약과 관련된 중재연구 동향 분석: 주제 범위 문헌 고찰』(2022)/ 한국성인간호학회지/ 34(3): 233-248/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과/ 김혜영 외
· 학술자료: 『Frailty in Older Adults』(2024)/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N Engl J Med)/ 391(6): 538-548/ Kenneth Rockwood et al.
· 학술자료: 『Factors Associated with Frailty Syndrome in Older Adults』(2020)/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nd Aging/ 24(2): 218-222/ Alessandra Barbosa da Silva et al.
·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 ∴본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전재 및 복제를 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