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신생아 케이스(아동)
- 최초 등록일
- 2025.01.26
- 최종 저작일
- 2024.04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정상신생아 케이스(아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간호진단 3개 + 간호과정 2개
- 흡인의 위험 *
- 감염의 위험 *
- 체온조절의 위험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장단기),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환자 소개
2. 간호과정
Ⅲ. 결론
1. 대상자의 간호과정과 관련된 재평가 및 재계획
2. 실습 소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신생아는 출생 후 1개월까지의 아동으로, 태아가 자궁 내 환경에서 자궁 외 환경으로의 적응을 시작하는 굉장히 중요한 시기이다. 태아는 자궁 내에서 모체로부터 태반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아 성장했지만, 출생 이후에는 스스로 호흡하여 산소를 얻고, 수유를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이처럼 다양한 환경적인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성장해야 하는 과도기적 시기인 신생아기의 환경 적응 여부가 신생아의 생존을 좌우한다.
2. 문헌고찰
1) 출생
태아가 골반으로 내려오고, 임산부가 가벼운 진통과 요통을 경험하면서 혈액이 섞인 이슬이 비치면 분만이 시작된다. 임신 기간은 수정일로부터 평균 38주(266일)이나 태아의 크기‧자궁의 크기‧호르몬의 수준‧임부의 생리적 영향‧임부의 심리적 영향에 따라 분만예정일에 정확하게 분만하는 경우는 드물며 분만예정일을 기분으로 전후 2주간은 정상으로 판단한다.
2) 출생 직후의 적응
(1) 호흡기계
신생아에서 일어나는 가장 중요하고 즉각적인 생리적 변화는 호흡의 시작이다. 자궁 내에서는 호흡 억제기전에 의해 호흡이 억제되어 있으나 출생 후 혈액의 낮은 산소분압‧높은 이산화탄소 분압‧낮은 pH 등의 화학적 요인은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자가 호흡이 시작된다. 온도 나 접촉을 통한 자극도 호흡중추를 자극하는데, 낮은 온도인 외부 환경과 피부를 닦는 행동, 발바닥을 때려 자극하거나 몸통이나 사지를 문지르는 자극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순환기계
호흡의 시작 다음으로 중요한 변화는 혈액을 폐로 흐르게 하는 순환기계의 변화이다. 폐‧심장‧대혈관의 압력 변화로 인해 순환기계의 변동이 유발되며, 난원공‧동맥관‧정맥관과 같은 태아 단락(fetal shunt)가 기능적으로 폐쇄된다. 폐동맥은 산소의 증가‧이산화탄소의 감소‧pH의 증가‧호흡에 따른 폐포의 물리적인 팽창에 의해 확장되여 폐의 혈류가 증가해 신생아의 출생 직후 적응을 돕는다.
참고 자료
송경애 외. (2021).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송경애 외. (2021).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송경애 외. (2021).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이수연 외. (2019).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수문사. 208-253, A52-A65.
구현영 외. (2023). 신생아건강간호. 수문사. 35, 62-107.
권인수 외. (2022). 인간성장발달: 전 생애 접근. 수문사. 100-118.
이은희 외. (2022). 2nd Edition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197-218.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질병관리청. [12.28.수.조간] 올바른 손씻기, 비누로 30초 동안!.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act=view&list_no=721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