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 1강 강의를 통해 세계의 한국어 교육기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최초 등록일
- 2025.01.24
- 최종 저작일
- 2025.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개론
주제: [1차]1주 1강 강의를 통해 세계의 한국어 교육기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국내외 한국어교육기관의 현황을 조사하고 코로나 이후 한국어 세계화 방안을 제시하십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국내외 한국어교육기관의 현황
2. 코로나 이후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코로나19 이후 사회 및 경제, 그리고 교육의 전반이 바뀌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상황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많이 바뀌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대학교나 대학원의 외국어 학당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한국에 온 외국인, 그밖의 외국인노동자(이주노동자), 결혼 이주 여성, 다문화 가정의 자녀 등과 같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학습자들이 대면 수업을 받았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다수의 외국인들이 떠나고, 집합금지로 인해 대면 수업을 하지 못하게 되면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줄어드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코로나19에도 한국어 학습에 관한 세계인의 관심은 뜨거웠던 것이다. 세종학당재단에 따르면 2019년의 학습자수는 7만2713명이었는데, 코로나가 극심했던 2020년에도 학습자 수는 7만6528명으로 집계되었다고 한다. 코로나19 전후로 별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 시기 변화된 것이 있다. 비대면 수업이 활성화 된 것이다. 그런데 오히려 이 또한 한국어 교육에는 호재가 되었다.
비대면 수업의 발달에 따라 최근에는 오히려 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 이는 비대면 수업 프로그램이 좀 더 다양화되고 활성화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최근 한국어교육기관은 국내외 어디서든 찾아볼 수 있다. 그들 또한 비대면 교육의 범위를 늘려가고 있다. 이에 나는 본 과제를 통해 국내외 한국어교육기관의 현황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코로나 이후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방안을 제시해 볼 것이다.
Ⅱ. 본론
1. 국내외 한국어교육기관의 현황
먼저, 국내 한국어교육기관에 대한 설명이다. 국내 한국어 교육 담당 기관은 크게 둘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정부 및 관련 기관이다. 관련 기관으로는 문화 체육 관광부, 교육부, 외교부, 고용노동부, 법무부가 있다. 우선, 문화 체육 관광부의 세부 기관으로는 국립국어원, 세종학당재단(해외), 국어문화원이 있다.
참고 자료
국립국어원장, 2021 한국어교육 정책 현황과 제안, 국립국어원, 2022.
김용현,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 현황 분석, 이중언어학회, 2020.
홍은혜,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 기반한 이주노동자 대상 온라인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조현희,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1.
온라인 세종학당 한국어 수강생 매년↑…영어권 학습자 최다, 연합뉴스, 2023.1.25.
"한국어 열풍"…세종학당, 14년 만에 82개국 18배↑, 뉴시스, 2022.4.19.
영남대학교 홈페이지
https://www.yu.ac.kr/koreanedu/link/korean-institutio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