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실습 RDS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 최초 등록일
- 2025.01.23
- 최종 저작일
- 2024.04
- 2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아동간호학 실습 RDS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II. 문헌고찰
III. 간호사례
IV. 결론 및 소감
V.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신생아의 호흡곤란 증후군은 출생 직후 폐가 지속족으로 팽창하지 못하고 찌그러들어 충생 후 진행성 호흡부전이 생기는 질환이다. 미숙아는 폐가 작고, 폐를 팽창하게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의 생산과 분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호흡고란 증후군이 발생할 위험성이 크다. 임상 실습중 관찰하고 많은 경험을 할 것 같아 CASE로 선정하였고 NICU에서 치료과정과 약물과 고빈도 인공환기 장치 (HFV) 등을 사용하여 치료하는 과정을 볼수 있어 선정하였다.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미숙아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이다. 발생 빈도는 재태주수와 반비례하는 양상으로 재태주수 22~24주의 경우 95~98%에서 발생하지만, 출생체중이 1,251~1,500gm인 출생아에서는 25%에서 발생하고 있다. 34주 출생아의 5%, 37주 출생아의 1%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생아의 호흡곤란 증후군에 대해 더 알아보고자 연구하게 되었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DS)은 신생아가 출생 직후 경험할 수 있는 호흡 부전의 일종으로 주로 미숙아에게 나타난다. 폐의 미성숙으로 인해 폐의 미성숙으로 인해 폐가 작고, 폐를 팽창하게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의 생산과 분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 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할 위험성이 크다. 미숙아는 전산적으로 각 장기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 발달도 미숙하기 때문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미숙아 사망의 주된 원인이고 신생아 집중치료의 주된 질병이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은 유리질막병이라고 한다. 폐를 지속적으로 팽창시키는 물질인 표면활성제가 부족하여 초래되는 질환이다. 자궁 외 환경에 정상적으로 폐가 적응하기 위해서는 표면활성제가 충분해야 한다.
참고 자료
구현영 외 8명(2023). 신생아건강간호. 경기도 파주시: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2024). 질환백과. 2024.04.10.
https://raredisease.snuh.org/rare-disease-info/certain-diseases-before-and-after-birth/%EC%8B%A0%EC%83%9D%EC%95%84%EC%9D%98-%ED%98%B8%ED%9D%A1-%EA%B3%A4%EB%9E%80%EC%A6%9D%ED%9B%84%EA%B5%B0/
아산병원(2024). 질환백과. 2024.04.10.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31
약학정보원(2024). 2024.04.10.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50A0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