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모음 체계의 특징을 설명하고 한국어 교육에서 모음 음소를 효율적으로 교육하는 방안에 대해
- 최초 등록일
- 2025.01.23
- 최종 저작일
- 2025.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과목: 한국어음운론
주제: 한국어 모음 체계의 특징을 설명하고 한국어 교육에서 모음 음소를 효율적으로 교육하는 방안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밝히십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어 모음 체계의 특징
2. 한국어 교육에서 모음 음소를 효율적으로 교육하는 방안에 대한 견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음은 “성대 진동을 받은 소리가 목과 입, 그리고 코를 거쳐 나오면서 그의 통로가 좁아지거나 혹은 완전히 막히거나 하는 등의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모음은 자음에 비해서 훨씬 울림도가 크고 혼자서도 음절을 이룰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국어의 모음 규정은 ‘표준 발음법’에 제시되어 있다. 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한국어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모음은 하나의 소리로 구성되어진 모음이다. 그리고 이중모음은 두 개의 단모음이 결합되어진 소리이다. 한국어 모음은 단모음 10개, 이중모음 11개로 구분되는데 원칙적으로 ‘ㅚ’, ‘ㅟ’는 단모음이나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허용한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에서는 ‘ㅚ’, ‘ㅟ’를 이중모음으로 분류하여 단모음 총 8개와 이중모음 총 13개로 나누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에 나는 본 과제를 통해 한국어 모음 체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한국어 교육에서 모음 음소를 효율적으로 교육하는 방안에 대한 나의 견해를 기술해 볼 것이다.
참고 자료
박하나, 스페인어 화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분석과 습득 패턴 연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1.
김정욱,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수 방안 연구 : 한국어와 중국어 모음 체계 대조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2009.
김기범, 베트남 화자에 대한 한국어 모음 교육 방안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