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모듈원자력 개념, 현황 및 시장전망 [SMR,소형모듈원자력,소형모듈]
- 최초 등록일
- 2025.01.21
- 최종 저작일
- 2025.01
- 9페이지/ MS 워드
- 가격 4,000원
소개글
소형모듈원자력 개념, 현황 및 시장전망에 대해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1. 소형모듈원자력 개념
2. 소형원자로와 대형원자료 비교
3. 소형모듈원전 특징
4. SMR 경쟁
5. SMR 시장전망
6. SMR 개발 성공과 대중화를 위해 풀어야 할 과제
7.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소형모듈원자력 개념
소형모듈원자로(SMR, Small Modular Reactor)는 대규모 전력 공급이 가능하면서도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차세대 원자로이다. 최근 AI 수요 확대와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으로 인해,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SMR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전 세계적으로 SMR 시장 선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한국형 노형인 i-SMR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화를 지원하고 있다. 제11차 전력기본계획 초안에는 2035년 이후 SMR 0.7GW 설치 계획이 포함되었으며, 정부는 추가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SMR은 소형(Small), 모듈(Modular), 원자로(Reactor)의 줄임말이다. 대형 원자로와 비교할 때, SMR의 주요 차이점은 설비 용량과 건설 방식에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대형 원전의 설비 용량은 1,000MWe 이상인 반면, SMR은 설비 용량이 300MWe 이하로 정의된다. 간혹 300MWe를 초과하는 원자로를 SMR로 분류하기도 하나,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정의에 따르면 300MWe 이하가 소형 원자로이며, 700MWe까지는 중형 원자로, 10MWe 이하는 초소형 원자로(MMR, Micro Modular Reactor)로 분류된다. 또한, SMR은 모든 건설 과정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대형 원전과 달리, 공장에서 모듈 형태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건설된다. 이로 인해 표준화가 가능하며, 건설 기간을 3년 이하로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SMR은 피동형 안전설계를 채택하여 냉각 과정에서 인간의 개입 없이도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어 높은 안전성을 제공한다. 대규모 냉각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사막이나 오지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부하 추종 운전을 통해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할 수 있다.
참고 자료
SMR(소형모듈원자로)의 무한한 가능성과 전략/삼일법인회계
SMR(소형모듈원자로)의 무한한 가능성과 전략/PWC/2024.12
AI 필수재 부상한 SMR… 韓도 ‘시장 선점’ 기술 개발 경쟁/전성필/2024.06.12
"680조 시장 잡아라"···건설업계, SMR 패권 노린다[SMR 왕좌 경쟁①/전보규/2025.01.20
기후위기 시대 준비하는 스마트 에너지원, 소형모듈원전(SMR)/이종호/2024.09.09
주요국 SMR 상용화 나서는데…韓은 이제야 '예타'/한채영/2021.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