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화실 크로마토그래피 (Chromatography)
동대생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제목2. Objective
3. Reagents & Apparatus
4. Theory
5. Procedure
6. Results
7. Discussion
8. References
본문내용
본 연구는 얇은 층 크로마토그래피(TLC)를 활용하여 혼합물의 성분을 분리하고, 미지 시료의 구성 성분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 각 시료의 Rf 값을 비교한 결과 미지 시료는 브로모티몰블루(BTB)와 메틸오렌지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개용매 1에서 BTB와 메틸오렌지의 Rf 값은 각각 2.7과 1.8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미지 시료의 Rf 값(2.7,2.1)과 비슷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TLC가 혼합물 내 구성 성분을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는 것으로, 정성 분석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또한 크로마토그래피(TLC)는 정량분석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비어-람베르트 법칙(A = εbc)을 적용하여 미지 시료의 성분 농도를 정량적으로 추정한다. 먼저, 다양한 농도의 표준 용액을 사용해 흡광도를 측정하고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미지 시료의 흡광도를 비교하여 각 성분의 상대적 농도를 산출한다.
이때, TLC를 활용한 정량 분석에서 비어-람베르트 법칙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먼저, 흡광도 측정의 정확성이 중요하다. TLC 플레이트에서 각 성분의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해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 분광광도계)를 사용하며, 각 성분의 위치와 면적을 정확히 파악하여 흡광도를 측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분광광도계의 조정을 정확히 하고, 샘플 준비 과정도 신중히 진행해야 한다.
또한, 검량선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표준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량선을 작성할 때 다양한 농도의 표준 용액을 준비하여 흡광도와 농도 간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해야 한다. 검량선은 미지 시료의 농도를 추정하는 기준이 되므로, 정밀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실험이 필요하다.
비어-람베르트 법칙의 적용 범위도 고려해야 한다. 이 법칙은 일반적으로 낮은 농도 범위에서만 선형성을 보이며, 농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분자 간 상호작용으로 인해 흡광도와 농도 간의 비례 관계가 깨질 수 있다.
참고 자료
John McMurry, Jill K. Robinson, Robert C. Fay,chemistry,pearson(2020)동국대학교 화학과 화학실험실(김중현), 일반화학실험, 녹문당(2022),p91-95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메틸 오렌지,2025년 1월 8일 확인https://msds.kosha.or.kr/MSDSInfo/kcic/msdsdetail.do
wikipedia, Methyl orange,wikipediaenglishhttps://en.wikipedia.org/wiki/Methyl_orange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브로모티몰 청색,2025년 1월 8일 확인https://msds.kosha.or.kr/MSDSInfo/kcic/msdsdetail.do
wikipedia, Bromothymol blue,wikipediaenglishhttps://en.wikipedia.org/wiki/Bromothymol_blue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메틸레드,2025년 1월 8일 확인https://msds.kosha.or.kr/MSDSInfo/kcic/msdsdetail.do
wikipedia, Methyl red,wikipediaenglishhttps://en.wikipedia.org/wiki/Methyl_red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아스피린,2025년 1월 8일 확인https://msds.kosha.or.kr/MSDSInfo/kcic/msdsdetail.do
wikipedia, Aspirin,wikipediaenglishhttps://en.wikipedia.org/wiki/Aspirin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n-부탄올,2025년 1월 8일 확인https://msds.kosha.or.kr/MSDSInfo/kcic/msdsdetail.do
wikipedia, 1-Butanol,wikipediaenglishhttps://en.wikipedia.org/wiki/Aspirin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에탄올,2025년 1월 9일 확인https://msds.kosha.or.kr/MSDSInfo/kcic/msdsdetail.do
wikipedia, Ethanol,wikipediaenglishhttps://en.wikipedia.org/wiki/Ethanol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암모니아용액,2025년 1월 9일 확인https://msds.kosha.or.kr/MSDSInfo/kcic/msdsdetail.do
wikipedia, Ammonia solution,wikipediaenglishhttps://en.wikipedia.org/wiki/Ammonia_solution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아세트산,2025년 1월 9일 확인https://msds.kosha.or.kr/MSDSInfo/kcic/msdsdetail.do
wikipedia, Acetic acid,wikipediaenglishhttps://en.wikipedia.org/wiki/Acetic_acid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증류수,2025년 1월 9일 확인https://msds.kosha.or.kr/MSDSInfo/kcic/msdsdetail.do
wikipedia, Distilled water,wikipediaenglishhttps://en.wikipedia.org/wiki/Distilled_water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혼합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4610&cid=40942&categoryId=32251
네이버 지식백과,정성분석, 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2939&cid=62802&categoryId=62802
네이버 지식백과, 비어의 법칙, 물백과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93407&cid=60289&categoryId=60289
네이버 지식백과,테일링, 화학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10571&cid=42420&categoryId=42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