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제가 10대근로자의 노동시장을 왜곡하게 되는 이유
- 최초 등록일
- 2025.01.21
- 최종 저작일
- 2025.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저임금제도는 노동자의 생활을 보호하고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 국가가 법적으로 임금의 최저 기준을 정해두는 제도이다. 이는 노동시장에서 근로자의 교섭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임금이 지나치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최소한의 생계를 보장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도입되었다. 그러나 최저임금제도가 모두에게 동일한 긍정적 효과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기업 입장에서 보면 최저임금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경우 인건비 부담이 커지고, 그에 따라 일부 취약 계층의 고용 기회가 감소할 수 있다는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특히 노동시장에 갓 진입하는 청소년 근로자의 경우 낮은 숙련도와 경력 부족 등으로 인해 노동수요가 줄어드는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임금 수준의 문제가 아니라, 일찍부터 경제적 자립 혹은 사회 경험을 위해 노동에 뛰어드는 10대 근로자들의 미래 경력 형성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참고 자료
이승렬, 최저임금 산입범위 조정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동연구원, 2008노동부, 한국의 임금정책, 노동부, 2008
유춘권 외, 시장실패와 농협의 판매사업, 농협경제연구소, 2013
김성호, 시장실패에 따른 정부개입의 비효율성 연구, 한국외대, 2002
오정근,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이 일자리 및 분배에 미치는 영향, 2019
김양순, 최저임금 오르면 10대 알바생만 혜택? No!, KBS, 2018
한국경제인협회, 보도자료 최저임금, 한국경제인협회,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