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수지균형의 의의 및 판단기준
- 최초 등록일
- 2025.01.21
- 최종 저작일
- 2025.01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국제수지균형의 의의
2. 국제수지균형의 판단기준
본문내용
1. 국제수지균형의 의의
상술한 대로 국제수지표는 일국의 모든 대외경제거래를 복식부기원리에 따라 기록하므로 차변(지불) 합계와 대변(수취) 합계는 사후적으로 항상 일치한다. 이것을 '국제수지의 사후적 항등성 (identity ex post) 또는 '회계적 의미의 국제수지'라고도 한다.
이같이 국제수지표 상의 대변합계와 차변합계가 일치한다고 하여 전체 국제수지 중 어떤 부분항목의 대변과 차변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국제수지표 상의 어떤 항목들만을 기준으로 파악해보면 그들의 대변과 차변의 금액은 서로 차이가 있어서 수취 초과(+)가 될 수도 있고 지불 초과(U)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수취 초과의 경우를 흑자(surplus)라 하고 지불 초과의 경우를 적자(赤字, deficit)라고 한다.
참고 자료
국제경영(글로벌화의 도전) - Charles W. L. Hill / 지필미디어 / 2021
국제통상학원론 - 성일석 / 교우사 / 2015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