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본 문서는 한글표준문서(*.hwpx)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실습 아동 폐렴(pneumonia)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A. 진단명(질병)에 대한 문헌고찰(1페이지 이내로 요약하여 기술)
1. [ 폐렴 (Pneumonia) ]
B. 자료수집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가족력
4. 간호력
5. 아동의 입원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1페이지 이내로 작성)
6. 신체검진(본인이 직접 시행한 것만 기술)
7. 치료계획
8. 진단적 검사 : 검사 종류, 검사일, 정상 수치, 목적, 검사 결과
C. 간호과정
1. 우선순위에 따라 간호진단 목록 작성 → 1순위 간호진단을 선택하여 간호과정 기술
2. 간호진단 #1. : 점액 증가와 삼출물 축적과 관련된 가스 교환 장애
본문내용
1) 정의
폐렴은 말단 세기관지 이하 폐실질 조직의 염증으로 영유아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임상적으로 폐렴은 원발성 (1차성) 또는 다른 질환의 합병증인 2차성으로 발병한다.
2) 발생 빈도 및 원인
폐렴은 폐 실질 조직의 염증으로 영유아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감염성 폐렴의 두 가지 일반적인 형태는 바이러스성과 세균성으로 나눌 수 있다.
바이러스성 폐렴: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 (RSV)가 가장 흔하고 그 밖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등이 원인이며, 2~3세 영유아에게 호발
세균성 폐렴: 5세 미만의 아동에서는 폐렴 구균(pneumococcus)과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이 1차적 원인이며, 5세 이상 아동에서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Mycoplasma pneumonia)이 주요 원인이다. 세균성 폐렴은 원발성은 드물며 주로 상기도 감염의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3) 증상
상기도 감염이 선행되어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고열, 기침, 흉통, 오한 발생
호흡 양상 사정: 흉부 견축, 비익 확장, 빈호흡, 얕은 호흡, 타진 시 둔탁음
피로, 불안정, 기면
흰색의 가래 섞인 기침
위장 관계 증상: 식욕 부진, 구토, 설사, 복통
4) 진단
흉부 X-ray: 폐조직이 침윤되어 기관지 주변이 뿌옇게 나타남
혈액 검사: 대부분 심한 WBC, ESR, CRP 상승
객담 검사 및 배양 검사 실시 (비인두 분비물, 객담, 혈액 등)
5) 치료
충분한 휴식을 통해 스트레스를 최소화
수분 섭취를 통한 탈수 예방
항생제 투여 (페니실린-G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 해열제 투여
입원 치료: 6개월 미만의 영유아, 폐렴이 여러 겹에 걸쳐 있는 경우, 늑막 삼출, 농흉 동반
참고 자료
오원옥 외 (2023). 아동간호학(하). 수문사.
방경숙 외 (2018). 아동간호학. 학지사 메디컬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최희정, 김성재, 김범종, & 김인자. (2012). 수면장애 연구와 실무를 위한 한국어 자가보고 수면 측정도구 (pp. 5). 재활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양선희 외 (2021). 기본간호학1. 현문사.
양선희 외 (2021). 기본간호학2. 현문사.
약학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