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에서 장애 또는 장애인에 대해 법적, 정책적으로 꾸준한 인식개선을 하고 있으나
- 최초 등록일
- 2025.01.17
- 최종 저작일
- 2025.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교과목명 : 장애인복지론
<과제명> 우리 사회에서 장애 또는 장애인에 대해 법적, 정책적으로 꾸준한 인식개선을 하고 있으나 여전히 장애인은 사회적 시선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배제받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기사문 등을 제시하고 이러한 사회적 배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지 작성하되, 해외에 관련된 사례나 방안이 있다면 함께 제시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장애나 장애인과 관련한 문제 사례
2. 사회적 배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
1) 방안
2) 해외 사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내에 등록된 장애인은 2022년을 기준으로 한국장애인개발원에 따르면 약 260만 명으로 우리 사회 인구 중 약 5% 정도를 차지한다. 하지만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는 저조한 수준이다. 2022년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민 여가활동 조사에 따르면 장애인은 여가활동 유형이 TV 시청과 같은 휴식 활동은 비장애인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사교활동은 비장애인보다 낮아 장애인의 사회적인 활동이 적은 수준이었다. 장애인의 활동은 물리적인 장애로 참여하기 어렵다는 것도 있지만 실질적으로 장애인 욕구에 부합하는 사회적인 지원이 부족하고 사회적인 편견 등과 같은 부정적인 인식으로 사회활동의 참여가 더 어려운 상황이다. 장애인이 사회활동 하는 것은 비장애인처럼 사회적인 역할을 부여받고 사회에 이바지하며 사회구성원으로서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는 데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현재 장애인 사회활동 참여 수준은 비장애인과 비교했을 때 낮은 수준으로 큰 문제이며 장애인의 사회활동을 방해하는 다양한 사회적인 제약이 있다.
참고 자료
장가희, 2024,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사회활동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p.1~2
김득연, 2021, 운수종사자의 장애인이동권에 대한 인식 및 이동권 모델개발, 국내박사학위논문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p.18~25
저상버스, 늘면 뭐하나 탈 수 없는데…버스정류소 등 접근성 ‘엉망’, 이용석, 더 인디고, 2023.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