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정신지체 명칭에서 지적장애 명칭의 변화에 따른 영유아 영향 고찰
1) 명칭 변화 배경
2) 명칭 변화 영향
(1) 장애 기능 향상 교육 가능성 향상
(2) 인권 환경 조성 마련
3. 결론 : 느낀 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2007년 10월 12일부터 발효된 장애인복지법 개정안에 따라 기존의 ‘정신지체’라는 명칭은 ‘지적장애’로 변경됐다. 그동안 지적장애인의 권리 보장과 복지 향상을 위한 목표로 활동해온 한국정신지체인애호협회도 한국지적장애인복지협회로 단체명을 변경한 것이다.
한국지적장애인복지협회는 “지적장애인은 지적인 능력에서 다른 사람들과 차이를 가질 뿐 재활교육과 자립훈련, 사회적 지원만 있으면 비장애인과 동일하게 생활을 할 수 있는 능력과 권리를 가진 사람들”이라며 “이번 명칭 변경으로 정신지체 명칭이 주는 편견과 부정적 인식이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국지적장애인복지협회에 따르면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라는 용어를 변경한 것은 우리나라만의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130여년의 역사를 가진 미국정신지체협회(AAMR)는 지적장애라는 용어를 수용하기 위해 2007년 1월 1일부터 미국 지적 및 발달장애협회(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AIDD)로 명칭을 변경했다고 한다.
참고자료
· 송준만 외 9인(2016), 지적장애아교육, 학지사
· 이영철(2010), '지적장애' 용어의 변화와 최근 동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0, vol.12, no.3, pp.1-24
· 박정식(2010), AAIDD 11차 지적장애 정의와 분류 체제의 함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12(4), pp.1~19
· 강종구, 김라경(2012),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지적장애의 개념과 시스템 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14(2), pp.1~23
· 복지연합신문(2007,10,16), 정신지체 지적장애로 명칭 변경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