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급심사제도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5.01.14
- 최종 저작일
- 2025.0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국기원 승품단심사 논문
주제: 승급심사제도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태권도 심사 규정
2. 승급 심사 제도 현황
1) 승품단 심사
2) 응시 자격의 기준
3) 표준 심사 과목
4) 국내 및 해외 유품단자 현황
3. 승급 심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국내 승급 심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 해외 승급 심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태권도에서 심사란 “태권도 수련자가 국기원 태권도 승품(단)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평가 받는 과정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사전적 의미로 보면 “자세하게 조사하여 등급이나 당락 따위를 결정하는 것이다.”라고 정의된다. 태권도의 경우 운동 학습과정을 ‘수련(修鍊)’이라 부르고 있는데, 수련자는 이와 같은 수련 과정에서 일정 주기마다 지도자에게 수련단계에 맞는 평가를 받아야 한다. 즉, 자신의 현재 수련 단계와 수준을 확인하는 제도가 바로 태권도 심사인 것이다. 더불어 심사는 수련자들이 설정된 목표에 어느 정도 접근하고 있는가를 지도자가 측정하는 과정으로도 볼 수 있다. 즉, 지도자가 일정한 척도를 활용하여 수량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활동이자 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심사가 태권도만의 고유한 제도적인 장치라고는 말할 수 없다. 유도, 검도, 가라데 등과 같은 무술에도 심사나 이와 유사한 제도적 및 관습적 틀을 갖춘 과정이 있기 때문이다. 해당 무술의 수련자 또한 심사를 통해 기량과 능력을 인정받게 된다. 이런 점에 미루어 볼 때 심사는 “시험 또는 통과의례가 아닌 수련자로서의 전반적인 사항을 점검하는 과정의 체계이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태권도 심사는 “태권도 수련자가 심사 주관기관인 국기원의 태권도 승품(단)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평가과정으로 태권도 심사규정에 의거하여 적정 수련 기간과 과정을 거친 수련자들의 실력을 평가하는 절차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심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태권도 심사의 목적은 대한태권도협회 심사규정 제1조(목적)에서 그의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본 규정은 국기원(세계태권도본부) 공인, 품(단)증 발급에 따른 제반심사 및 업무처리 절차를 규정하여 태권도 기량의 합리적인 배양과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품(단)의 부여를 목적으로 한다.”가 그의 내용이다.
참고 자료
정재환, 태권도 승품(단)자 감소원인과 대안찾기, 한국체육철학회, 2008.
김수성, 태권도장 승급심사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8.
민흥기, 태권도장 승급심사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6.
김서경 외, 태권도 승품(단) 실기심사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체육과학회, 2015.
남궁윤석 대표, [칼럼] 국기원은 해외 월단 심사와 특별 심사 제도를 폐지해야!, 한국태권도 신문, 2021.11.9.
국기원 홈페이지 (https://tkdcon.net/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