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보육의 의미찾기
- 최초 등록일
- 2025.01.14
- 최종 저작일
- 2025.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장애아동보육론
주제: 통합보육의 의미 찾기
내용: 통합보육과 관련된 자료(정책, 장/단점, 사례 등)을 적어보세요. 그리고 통합보육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본인의 생각을 생각이 정리하고 그 이유에 대해 서술하세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통합보육과 통합보육이 가지는 의미
1) 통합보육의 정책 및 장단점
(1) 통합보육의 정책
(2) 통합보육의 장단점
2) 통합보육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나의 개인적 생각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나라는 장애유아와 비장에 유아가 함께 생활하고 교육받으면서 동등한 보육의 기회를 가지고 있다. 장애통합보육은 우리나라 보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그런데 통합보육 시 일반유아는 보육교사가 장애유아는 장애전담교사가 초점을 두는 경우가 있다. 이들 교사는 서로 협력보다 분리에 가까운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교육형태는 통합보육이라 할 수 없겠다. 그리고 교사들이 통합보육은 실시하면서 두 교사간의 자신의 역할을 파악하지 않고 서로 책임감보다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한다면 통합보육의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없다.
우리나라는 무상보육정책으로 인해 많은 장애유아들이 일반어린이집에 다니며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부분이 되어 자리 잡았다. 장애통합 보육이 성공적이려면 교사간의 서로 협력으로 통합 환경에서 성공적인 경험의 기회가 제공되어져야 한다.
통합보육과 관련된 자료와 함께 통합보육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생각을 논하여 보도록 하겠다.
참고 자료
황새봄(2015). 보육교사의 장애통합 보육 및 누리과정 적용 인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송준만, 강경숙, 김미선, 김은주, 김정효, 김현진, 이강순, 이금진, 이정은, 정귀순(2015). 지적장애아교육. 학지사
박별(2020). 통합교육환경에서 다층구조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이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사회정서역량, 장애유아의 대한 비장애유아의 인식 및 관계에 미치는 효과.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현선(2015). 유아교육과 보육통합에 대한 가정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인적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김한아(2020). 통합환경에서 경도장애학생의 학교상담을 위한 협력의 촉진요인과 저해요인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미정, 최은아(2007). 통합교실의 자유놀이에서 나타난 장애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인식 및 상호작용 전략. 열린유아교육연구,12(5). 417-449.
Diamond, K. E(1993). Preschool children'sconcepts of disability in theirpeer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4(2), 123-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