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개 분야별 전문간호사에 관해 조사
- 최초 등록일
- 2025.01.14
- 최종 저작일
- 2025.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주제: 13개 분야별 전문간호사에 관해 조사
목차
Ⅰ.서론
Ⅱ.본론
1.가정전문간호사
2.감염관리전문간호사
3.노인전문간호사
4.마취전문간호사
5.보건전문간호사
6.산업전문간호사
7.응급전문간호사
8.정신전문간호사
9.종양전문간호사
10.중환자전문간호사
11.호스피스전문간호사
12.아동전문간호사
13.임상전문간호사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간호사 자격증을 취득한 이후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문간호사 시험을 응시하여 합격하면 전문간호사가 될 수 있다. 전문간호사들은 자신의 분야에서 전문적인 간호 서비스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간호사 자격증만 취득한 간호사들과는 차별화된다. 전문간호사를 육성하면 가정 간호나 감염관리, 노인간호, 마취, 정신 간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좀 더 전문적인 간호 서비스가 환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13가지 종류의 전문간호사가 있으며 본론을 통해서 각각 전문간호사들이 하는 역할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해 보겠다.
Ⅱ.본론
1.가정전문간호사
가정전문간호사는 가정에서 질병이나 상해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병원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가정에서도 병원과 같은 치료와 간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가정전문간호사는 임상경험과 간호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환자의 퇴원 전 준비단계에서 시작해서 퇴원 후 환자의 집을 방문해 환자에게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2.감염관리전문간호사
감염관리전문간호사는 환자가 입원했을 때 감염 위험을 감소시켜 의료관련 감염을 예방하는 감염관리 활동을 한다. 또한, 감시활동을 하면서 감염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감염관리에 대해 토론을 하면서 원내 감염관리 지침을 만든다.
3.노인전문간호사
노인전문간호사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포괄적으로 평가하여 타 진료과 의뢰, 재원환자의 건강문제 평가, 입 퇴원 시 가정간호 및 교육 등의 일을 한다. 이들은 노인과 관련된 간호교육을 실시하고 노인관련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와 정보를 교류한다.
참고 자료
「가정간호」, 국립중앙의료원 간호부, 2024년 3월 12일 접속
https://www.nmc.or.kr/nrs/main/contents.do?menuNo=600010
「감염관리 전문간호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024년 3월 12일 접속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NU&MENU_ID=005033007
「노인전문간호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024년 3월 12일 접속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NU&MENU_ID=005033009
「산업간호사」, 사단법인직업건강협회, 2024년 3월 12일 접속
http://www.kaohn.or.kr/sub07/sub01_3.php
「응급간호」,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2024년 3월 12일 접속
https://dept.snuh.org/dept/NU/content.do?menuId=003017
「전문간호사가 되는 길」, 대한간호협회, 2024년 3월 12일 접속
https://www.koreanursing.or.kr/resources/be_specialist.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