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복지론] 인권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학생 및 학교 구성원의 인권을 증진하는 학교가 되기 위한 방안 기술
- 최초 등록일
- 2025.01.10
- 최종 저작일
- 2025.0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학교사회복지론] 인권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학생 및 학교 구성원의 인권을 증진하는 학교가 되기 위한 방안 기술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인권의 정의
2. 학생 및 학교구성원의 인권이 의미하는 바
3. 학생 및 구성원의 인권 증진 방안
1) 인권 교육 강화
2) 다양성 존중 문화 조성
3) 평등한 기회 제공
4) 교사와 직원의 인권 교육 강화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세계화, 지식정보화, 그리고 문화화로 특징지어지는 21세기를 살아가야 하는 오늘의 학생들에게 우리의 미래가 달려 있다. 학생들의 자기 존엄성을 토대로 자신감 있게 세계와 대면하며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인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헌법 제 10조에도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누구나 태어나면서 성별, 국적, 인종 등에 관계없이 존중을 받으며 인간답게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권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우리나라도 과거 군사독제에 대항하는 민주화 운동과 시민운동을 통하여 인권문제에 대하여 많은 논의와 더불어 인권의식이 신장되었으며 실질적인 인권 보장제도가 많이 마련되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인권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학생 및 학교 구성원의 인권을 증진하는 학교가 되기 위한 방안 기술해 보겠다.
Ⅱ. 본론
1. 인권의 정의
오늘날 인권이란 말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하고, 현대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권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명확하고도 확정된 답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이는 인권의 개념과 범주가 폐쇄적인 것이 아니라, 시대적․사회적 조건 속에서 규정되는 것이며 인권을 확장하고 새로운 인권 개념을 창조해나가는 인권 운동의 역사 속에서 늘 변화하고 풍부해지는 역동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인권학자들은 인권의 기원을 고대 그리스 및 로마에서 찾는다. 모든 생명체에는 보편적인 힘이 있고, 인간의 행동도 자연법칙에 따라 판단되고 그에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스토아학파의 자연법 이론과 연결을 시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 인간 권리의 가장 중심적인 가치인 ‘자유’와 ‘평등’이 제외되었다.
참고 자료
김녕(2014). ‘학생인권과 교권’에 관한 몇 가지 ‘오해’ 풀어가기-인권적 시각에서의 고찰. 생명연구.
김종우·김위정·이가람(2023). 학생인권과 교권 관계에 관한 학생의 인식. 인권연구.
신강숙(2021). 학생인권 보장 현황과 입법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교육법학연구.
조금주(2016). 학생인권조례 분석 및 학생인권 조사 개발 방향. 청소년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