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산후출혈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25.01.07
- 최종 저작일
- 2024.07
- 7페이지/ 한글표준문서
- 가격 1,500원
* 본 문서는 한글표준문서(*.hwpx)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 산후출혈 CASE 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증상
4. 진단 및 검사
5. 치료 및 간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및 제언
본문내용
Ⅰ. 서론
산후출혈은 출산 후 발생하는 비정상적으로 많은 출혈을 말한다. 특히 산모의 건강과 생명에 심각한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산과적 응급 상황이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모성 사망 원인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지난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진행된 통계청 사망 원인 보완 조사 결과, 국내 산모 사망의 18.3% 정도가 산후출혈로 인해 발생하였다. 2009년~2018년 모성 사망자 수는 연평균 49.8명으로 그 중 20~30%가 분만 후 24시간 안에 발생하는 산후출혈로 인해 사망하였다(통계청, 2009~2018년 모성사망자 수 및 모성사망비). 산후출혈은 자궁이 충분히 수축하지 않거나, 산도 열상, 태반 잔류, 응고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치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이나 심각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산후출혈의 원인,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산후출혈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산모의 건강과 생명을 보고하고자 한다.
Ⅱ. 본론
산후출혈이란, 질 분만의 경우 산도를 통해 500cc 이상의 출혈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하고 제왕절개의 경우 1,000cc 이상의 출혈이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출산 후 출혈이 발생하는 시기에 따라 조기 산후출혈과 후기 산후출혈로 나뉜다.
① 조기 산후출혈
Ⅱ-1. 정의
: 출산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출혈
Ⅱ-2. 원인 및 병태생리
조기 산후출혈의 90%는 자궁이완이 원인이며, 태반 부착 부위에서 출혈이 지속된다. 조기 산후출혈의 또 다른 원인은 비뇨생식기의 열상 혈종, 자궁내번증, 자궁파열, 혈액응고장애, 수태산물의 잔류, 태반부착이상 등이 있다.
참고 자료
김혜원 외, 제6판 여성건강간호학Ⅱ(2023), 현문사
서울아산병원, 분만 후 출혈(Postpartum Hemorrhage)
이경은. "한국 여성의 산후출혈 발생 추이와 위험요인에 관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서울
차병원, 이완성 자궁출혈, https://www.chamc.co.kr/
차병원, 자궁 파열, https://www.chamc.co.kr/
허유재병원, 분만 중 출혈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