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성인간호학실습-신경외과] (A+ 자료) 척수종양 - 질병보고서, 문헌고찰, 사례보고서, 케이스,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급성통증, 성인 낙상의 위험, 성인 욕창의 위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 문헌고찰
Ⅱ. 본론 -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병의 정의
척수는 뇌의 연수에서 이어져 척추 안을 세로로 가로지르는 긴 원기둥 형태의 중추신경이다. 척추는 척수를 감싸고 보호하며 몸의 중심을 잡고 지탱하는 뼈이다. 척추 종양은 원발성 종양과 전이성 종양으로 구분된다. 원발성 종양은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으로 구분된다. 원발성 종양 중 양성 종양에 해당하는 것은 거대세포종, 혈관종 등이 있다. 악성 종양으로는 척삭종, 연골육종 등이 있습니다. 전이성 종양은 악성 종양이다. 척수종양은 흉수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요수와 경수 부위는 거의 비슷한 발생분포를 보인다. 척수종양의 발생 빈도는 모든 성인 종양의 0.5% 정도이며, 중추신경계 종양의 10~15%에 해당한다. 그중 한 수에 50%, 경수에 30%, 요수에 약 20% 정도 발생한다. 남녀의 발생 빈도는 비슷하며, 20~60세에 많이 발생하고, 양성 종양이 더 많다.
2. 병태생리
척수종양은 척수 자체를 침습하는 경우보다 척수를 압박하는 경우가 흔하다. 큰 종양은 척수를 압박하여 혈액공급을 방해하거나 뇌척수액의 정상적인 흐름을 차단하며, 척수로 가는 혈관이 폐색되면 척수울혈과 경색이 발생한다. 척수종양은 조직 형태와 경막이나 척수와의 관계에 따라 분류한다. 원발성 척수종양은 경막상혈관이나 척수수막, 척수의 신경아교세포에서 발생한다. 척수종양 의 약 20~30%는 폐, 유방, 전립샘, 대장, 자궁 등에서 전이된 속발성 종양이다. 척수의 전이성 종양은 척수의 경막외(epidural)를 압박한다. 이것은 척수 자체나 경막상 조직에는 거의 전이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척추내로 전이된다.
3. 종류
척수종양을 발생부위별로 경막외(extradural or epidural) 종양과 경막내(intra-dural)종양으로 분류한다. 경막내종양은 경막내-척수외 (intradural-extramedullary)종양, 경막내-척수내(intra-medullary)종양으로 나뉜다.
1) 경막외종양 (Exradural cord tumor)
전체 척수종양의 90%를 차지한다. 경막외종양은 척 수의 바깥 경막에서 발생하며 주변의 뼈를 침범하여 추체를 파괴한다.
참고자료
· 국가암정보센터 척수 종양
·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5069&menu_seq=5081
· 드러그 인포
· 서울아산병원 척수 종양 질환 백과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741
· 송경애 외 공저 기본간호학1,2. 수문사
· 약학정보원
· 유양숙 외 공저 성인간호학 8판 하권. 현문사
· 이동숙 외 공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메디컬에듀케이션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