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을 평가하는 듣기 평가 문항을 문항 분석 관점에서 검토하고 문제가 있는 문항을 10문항 찾아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십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제64회 한국어 능력평가 TOPIK I 듣기--- 15번 문제
2) 제64회 한국어 능력평가 TOPIK I 듣기--- 25번 문제
3) 제64회 한국어 능력평가 TOPIK I 듣기--- 27번 문제
4) 제64회 한국어능력평가 TOPIK II 듣기----32번 문제
5) 제47회 한국어능력평가 TOPIK II 듣기----29번 문제
6) 제83회 한국어능력시험 TOPIK II듣기 – 1번 문제
7) 제83회 한국어능력시험 TOPIK II 듣기—28번 문제
8) 제83회 한국어능력시험 TOPIK II 듣기—30번 문제
9) 제83회 한국어능력시험 TOPIK II 듣기 — 33번 문제
10) 제52회 한국어능력시험 TOPIK 2 듣기 – 8번 문제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TOPIK 한국어능력시험이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재외동포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사용 능력을 인증하는 시험이다.
영어 명칭의 첫 자를 따서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으로 불리기도 하는 한국어능력시험은 1997년부터 시행되어 현재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주관하고 있다. 시험은 수준별로 구성되어 TOPIK Ⅰ과 TOPIK Ⅱ로 나누어져 있다.
한국어능력시험은 1997년에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주관으로 처음 실시된 후 1999년 3회부터 20회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관했다. 시행 초기에 KPT(Korean Proficiency Test)이던 본 시험의 영어 명칭이 2005년부터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으로 바뀌었다. 2011년 사업 주관기관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으로 변경되었다
이곳은 교육부 직속 기관으로 재외동포의 교육을 지원하고 국제교육 교류를 담당하는 곳입니다. 2011년부터 지금까지 제21회부터 제34회까지 시행해 오고 있습니다. 중요한 변화로는 2014년 7월 20일에 종전까지의 시험 체제를 버리고 개편하여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한국어능력시험의 실시는 한국어교육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국어능력시험의 등급별 평가 범주 및 평가 내용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학습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또한 한국어 교육기관들도 이 기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개발해 한국어 교육과정이 표준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증가하면서 한국어능력시험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이에 본론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듣기 문항에서 문제가 있거나 헷갈릴 수 있는 10 문항을 찾아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5. 제47회 한국어능력평가 TOPIK II 듣기----29번 문제
*[29~30]다음을 듣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듣기]
여자: 요즘‘왕라면’의 인기 가 대단한데요. 지난달에 이어 이번 달에도 판매 1위를 차지했습니다. 성공의 비결이 뭘까요?
남자: 그 비결은 무엇보다 국물 맛에 있습니다. 저는 맛있는 국물을 만들기 위해 전국의 유명한 식당을 찾아다녔습니다. 그런데 맛의 비밀은 쉽게 가르쳐 주지 않더군요. 한 식당의 경우는 한 달 넘게 찾아가서 가르쳐 달라고 매달린 적도 있었습니다. 아주머니께서는 마지못해 저한테 만 비밀이라며 비법을 가르쳐 주셨죠. 그 비결들을 가지고 실험실에서 다양한 실험을 수없이 반복했습니다. 사실 제가 라면을 좋아하는 편은 아닌데 ‘왕라면’을 만들기 위해 하루에 열 번도 넘게 라면을 먹은적도 있었습니다.
29. 남자는 누구인지 고르십시오.
1) 라면을 개발하는 사람 2) 라면을 광고하는 사람
3) 라면을 판매하는 사람 4) 라면을 홍보하는 사람
정답은 1) 라면을 개발하는 사람
‣문제점
사실 이 문제 정답을 확인하기 전에는 답을 3번이겠다고 생각하고 1번도 가능하지 않을까라고 생각 했다.
우리가 라면을 먹기 까지는 라면회사에서 개발팀이 수프와 면을 연구하여 한 가지 라면을 출시하고 공장에서 그 조리법으로 대량 생산하고 마트로 판매하고 소비자가 마트에서 사서 끓여 먹는 유통 구조 개념에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언뜻 보기에는 어느 사업가가 국물이 아주 맛있는 라면을 끓여 판매하여 성공하는 사업 성공기로 보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한 제과점의 사장이 직접 반죽을 수백 번 실험하고 해서 맛있고 쫄깃한 빵을 만들듯이 유명식당에서‘왕라면’이라는 하나의 음식 이름으로 판매했는데 전국에서 줄을 서서 먹는 곳이 되었고 프랜차이즈 냈을 수도 있는 점으로 보면 남자는 판매자가 될 수 있다. 사실 흔히 판매자가 음식을 개발을 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
정답이 1) ‘라면을 개발하는 사람’이 애매하지 않게 되려면 수프개발의 단어가 중심이 되어야 하고 수프를 개발하기 위한 과정이 더 구체적이어야 되겠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