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화학실험 A+] 수소 이야기 결과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24.12.31
- 최종 저작일
- 2024.05
- 5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3,000원
소개글
"[서울대학교 화학실험 A+] 수소 이야기 결과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24학년도 1학기 화학실험 보고서이며, 해당학기 A+를 받았습니다.
해당 자료를 그대로 작성할 시, 표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Abstract
2. Data & Results
1) 실험 1. 수소의 발생과 폭명성 실험
2) 실험 2. 금속 원소의 당량 결정
3) 실험 3. 물의 전기분해
3. Discussion
4. 과제
5. Reference
본문내용
1. Abstract
본 실험에서는 ‘수소’에 관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Zn과 HCl을 반응시켜 Cavendish의 실험을 재현해봄으로써 수소 기체의 발생을 알아보고, 비눗방울에 불을 붙여 수소의 폭명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2에서는 금속 원소(Al, Mg, Zn)와 HCl의 반응으로 발생한 수소 기체의 부피를 측정하고, 이상 기체 방정식을 이용해 금속 원소의 원자량과 당량을 결정해보았다. 실험 3에서는 물의 전기분해 결과로 산화 전극에서는 산소 기체가, 환원 전극에서는 수소 기체가 발생하며, 산소 기체와 수소 기체의 비는 1:2임을 확인하였다. 실험 4에서는 기체 방전관과 분광기를 이용해 수소, 헬륨, 아르곤, 수은의 방출 스펙트럼을 관찰하였다.
2. Data & Results
실험 1. 수소의 발생과 폭명성 실험
고무막대를 연결한 가지달린 플라스크에 Zn 조각과 6 N HCl을 넣고 마개로 입구를 막았다. Zn 조각 주변에 공기방울이 생기고, 내부가 뿌옇게 변하는 것을 통해 Zn 조각과 HCl과 반응했음을 알 수 있었다.(그림 1)
참고 자료
Oxtoby, D. W., Gillis, H. P., & Butler, L. (2014).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7th ed.). Cengage. pp.156-157,406-407,670
Libretexts. (2020, August 11). 15.8: Normality. Chemistry LibreTexts.
https://chem.libretexts.org/Courses/Los_Angeles_Trade_Technical_College/Foundations_of_Introductory_Chemistry1/1.11%3A_Solutions/15.8%3A_Normality
Safety, codes, and standards fact sheet. (n.d.). https://www.energy.gov/eere/fuelcells/articles/safety-codes-andstandards-fact-sheet
Zumdahl, S. S., Zumdahl, S. A., DeCoste, D. J., & Adams, G. (2019). Chemistry (10th ed.). Cengage Learning Asia Pte Ltd. pp.262-263, 730
Rydberg formula. (n.d.). https://ch301.cm.utexas.edu/section2.php?target=atomic%2FH-atom%2Frydberg.html
Hydrogen and deuterium spectroscopy. (n.d.-a). https://www2.ph.ed.ac.uk/~mim/spectroscopy_poster2.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