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환자의 일반적 사항
2. 신체사정
3. 문헌고찰
4. 진단검사
5. 약물
6. 간호 자료
7. 대상자의 현재 상태
8. 간호과정
9.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환명: Myocardial Infarction with NSTEMI
원인 및 병태생리
문헌
심근경색증은 심근세포의 손상 또는 죽음으로 심근이 괴사된 것을 말한다. 심근세포의 죽음은 심장근육 기능의 영구적 손상을 의미한다. NSTEMI는 불안정형 협심증과 비슷한 병리적 현상과 임상증상을 보인다. 둘 다 플라크의 파열로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부분 폐색되어 혈류가 감소한다. 즉, 관상동맥의 죽상경화, 플라크의 파열, 혈전, 혈류 폐색으로 진행된다. 불안정형 협심증과 달리 혈액지표가 변하고 EKG변화가 지속되며, 사망의 위험이 높다.
사례 대상자
사례 대상자는 03.04 흉통으로 응급실 내원, 03.06 흉통과 Dyspnea로 내원하였다. 평소 고혈압을 앓고 있고, 22.05.16 Acute coronary syndrome 과거력이 있다.
임상증상
문헌
가장 중요한 증상은 흉통이다. 흉통은 가슴, 상복부, 턱, 등, 팔 등으로 방사될 수 있다. 통증의 양상은 조이는 느낌, 타는듯한 느낌, 압박감, 상복부 불편감등으로 나타난다. 심근경색증의 통증은 흉골하부의 압박감으로 나타나며, 왼팔과 등, 턱으로 방사된다. 통증은 마약성 진통제에 의해서만 완화되고, 30분이상 지속되며, 오심, 다한증, 호흡곤란, 공포, 불안, 부정맥, 피로, 상복부불편감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심근경색 후 첫 몇시간 내에 조기심실수축을 동반한 동성빈맥이 흔히 일어난다. 불안정형 협십증이나 심근경색 시 심박출량 감소로 인해 피부가 차고 축축해지며, 맥박이 감소하거나 없어진다. 이전에 심근경색증이나 고혈압이 있으면 흔히 S4 심음이 청진된다.
사례 대상자: 대상자의 주 증상은 흉통, Dyspnea이다.
치료
문헌
불안정형 협심증 증상이 있는 대상자는 심전도, 심장혈액지표, 스트레스검사, 심장초음파, 관류검사 등을 고려한다. 급성심근경색증 대상자는 계속적인 모니터링과 전문적인 응급소생술을 받을 준비가 되어야 한다.
참고 자료
유양숙, 권보은, 김희경, 박영례, 박효미, 안경주, 엄미란, 은 영, 조경숙, 최승혜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하), 2022, 850p
서울 아산병원 의약품 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