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간호관리학 손위생 QI 보고서 (자세하게)
가가노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고객의 정의2. 고객의 핵심요구
3. 팀 구성원
4. 원인 분석
5. 자료 분석 도구
6. 목표
7. 측정지표
8. 용어정의
9. 활동계획
10. 추진일정
11. 부록
12.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제 필요성>최근 새로운 항생제가 개발되고 각종 소독제가 사용되며 장갑과 가운 등 보호장구의 사용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항암요법의 발달,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증가, 침습적 처치의 보편화, 항균제 내성균주의 증가 등으로 인해 의료관련감염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이명해, 2008)
의료관련감염은 특정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입원한 환자 개개인에게 예상하지 않았던 새로운 질환이 병발함에 따라 발생하는 치료의 지연, 입원기간의 연장, 삶의 질 저하 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및 국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적지 않아서 의료재원의 부담 및 국가적 경제 손실을 유발하고, 해당 의료기관은 물론 전체 의료 행위와 간호의 질을 떨어뜨리는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송민정, 2018)
의료관련감염의 발생 원인은 내인성 감염원과 외인성 감염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인성 감염은 환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미생물이 감염원으로 작용하여 비교적 예방이 어렵다. 이에 비해 외인성 감염은 다른 환자, 직원, 방문객과 같은 주변사람들이나 의료기구, 약품과 같이 환경이 감염원이 되므로(Gilomen et al., 2011; Hernandez-Castro et al., 2011) 의료인이 주의하거나 환경을 조절함으로써 예방이 가능하다. 결국 손위생을 통해 미생물 전파를 차단함으로써 의료 관련 감염을 예방해 가장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더불어 효과적으로 환자의 안전 목표에 가까워질 수 있다.
하지만 ‘의료인의 손’은 의료관련감염 전파의 주요 매개원으로(곽지은, 2020), 다제내성균주 보균자나 감염된 환자에서 의료진의 손을 통해 다른 환자에게 전파되었다는 사례가 있다. 특히, 중환자실에서 발생하는 병원감염은 환자의 사망률을 증가시키고 병원 체류기간을 연장시키는 중요한 원인이다.
참고 자료
이명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손 씻기 증진 프로그램의 유형별 효과." 국내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08. 서울 임현자 (1996). 간호사의 손 씻기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2, 5-16.김명희, 김주성, 정현경, 이상엽, 김정순, 강인순 (2003). 일개 대학병원 내, 외과계 일반병동간호사의 손 씻기 실태조사. 가정의학회지, 24(6), 565-569.
이명해, 강현숙 (2007). 중환자실 의료종사자의 직종별 손 씻기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
지, 14(3), 270-278.
이은경 (2005).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손 씻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병원 감염내과. 2011. “중환자실의 감염관리”, 31(3)
신규 간호사의 학부 감염 관리 교육 경험과 교육 만족도에 따른 손위생 의도 및 손위생 수행도의 차이. 신나연 외 5명.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지. 9(1). 2021.15~26
배혜정. 이미옥. (2004). 의료기관에서의 손 소독제 사용현황. 병원약사회지, 21(2), 135-141.
서현지. "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손위생 소요시간 적정성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울산
Frontiers. (2020). Barriers to hand hygiene compliance in intensive care uni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qualitative study. Frontiers in Public Health.
권오미, 박은숙, 이동숙, 하은진, 용동은, 최준용, 김기환, 이철, 이경원, 이주현. (2012). 손위생 문화 정착 프로그램을 통한 수행률 증진 효과:한 대학병원의 3개년 활동 중심. 의료관련감염관리, 17(2), 53-60.
강영지.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손위생 시행 시점에 대한 지식조사."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2014. 울산
간호사의 손위생 지식, 인식 및 자가 보고 손위생 수행률에 대한 조사 연구. 차경숙 외 3명. 중환자간호학회지. 11(1), 2018년, 101 - 109
송민정. "입원환자 보호자의 손위생 관련 인식 및 수행."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8. 서울
Gilomen, S., Ruef, C., Held, L., Cathomas, A., French, L. E., &Hafner, J. (2011). Successful control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outbreak at a university department of dermatology.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25, 441-446.
http://dx.doi.org/10.1111/j.1468-3083.2010.03810.x
곽지은. "손위생 증진 활동에서 환자 참여에 대한 의료종사자의 인식."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울산
Park, J. H., & Kim, H. S. (2012, November 30). The Effect of the Hand Hygiene Education Program on Hand Hygiene Knowledge, Hand Hygiene Perception, Nasal Staphylococcus aureus Colonization and Hand Hygiene Adher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https://doi.org/10.7586/jkbns.2012.14.3.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