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방법
1) 전자저울의 정보 기록
2) 피펫을 이용한 액체의 이동
3) 눈금실린더를 이용한 액체의 이동
4) 뷰렛을 이용한 액체의 이동
Ⅴ. 주의사항 (실험 내용 요약 부분)
Ⅵ. 참고
1) 휠러의 사용법
Ⅶ. 실험 결과
1) 전자저울의 정보 기록
2) 증류수 2.00ml 측정 결과
3) 증류수 5.00ml 측정 결과
4) 증류수 10.00ml 측정 결과
5) 유효숫자를 고려하면서 data 처리를 한다.
6) 부피 측정 기구들의 정확도 정밀도(실험 재현성)를 비교
7) 우연오차 혹은 계통오차를 생각해 본다.
Ⅷ. 결과에 대한 고찰
1) 실험 결과 분석
2) 우연오차에 따른 오차 발생 분석
3) 계통오차에 따른 오차 발생 분석
4) 이 외에도 실험 값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
Ⅸ.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목적
: 전자저울과 액체의 부피 측정 기구의 사용법을 익히고, 데이터 처림 및 불확실도 추정 방법을 학습한다.
Ⅱ. 원리
1) 저울 사용법
(1) 저울을 평평한 곳에 놓고 조절나사를 통해 수포가 원 안에 들어오도록 평형을 맞춘다.
(2) 저울의 전원을 켜고 저울이 안정화될 때(숫자 변화가 없음)까지 기다린다.
(3) 저울이 안정화되면 tare 버튼을 눌러 영점을 설정한다.
(4) 시료를 저울에 올리고 무게를 측정한다.
2) 부피 측정 기구의 눈금 읽기
(1) 피펫(pipette)
① 피펫은 일정한 양의 액체를 정확히 취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리 기구로 유리관의 중앙부에 부풀어진 곳이 있어서 일정용적을 취할 수 있게 한 이동피펫(또는 Whole 피펫)과 뷰렛처럼 유리관에 정밀한 눈금이 있고 유출 도중에도 용적을 볼 수 있게 된 눈금피펫(또는 Mohr 피펫)으로 크게 나뉜다.
② 피펫을 사용할 때는 피펫 휠러를 사용하고 절대 입으로 빨아들이는 행동은 하지 않는다.
③ 정밀도는 이동피펫이 높지만 Mohr 피펫은 임의 양의 액체를 취하는 데 편리하다.
(2) 뷰렛(burette)
① 뷰렛을 세척액으로 씻고 증류수로 두세 번 헹구어 준 후 아세톤으로 물기를 닦아내고 말린다.
② 콕을 잠그고 뷰렛 안에 용액을 넣는다(이 때 유리 깔때기를 사용하면 용액을 넣기가 용이하며 사용할 용액의 양보다 더 많이 넣어야 한다).
③ 콕을 열어 용액을 세게 흘려줌으로써 콕 아래쪽의 유리관의 공기방울을 제거한다.
④ 공기방울이 없어지면 콕을 잠근다.
⑤ 콕을 조금 열어 용액을 흘려내면서 뷰렛에 담긴 용액의 메니스커스의 특정 눈금에 맞춘다.
⑥ 용액의 메니스커스와 뷰렛의 눈금이 일치하면 콕을 잠그고 이때의 값을 유효숫자를 고려하여 기록한다.
⑦ 배출구에 맺힌 용액의 방울은 유리막대나 비커의 벽면에 대어 제거한다.
⑧ 뷰렛에 담긴 용액을 다른 용기로 옮길 때는 콕을 이용하여 그 속도 및 양을 조절하고 배출구에는 방울이 맺혀있지 않도록 주의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