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전신병약물을 복용하는 조현병 환자의 기분조절장애를 위한 간호중재 진단3개 과정1개
- 최초 등록일
- 2024.12.08
- 최종 저작일
- 2023.05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향전신병약물을 복용하는 조현병 환자의 기분조절장애를 위한 간호중재 진단3개 과정1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간호진단
불안정한 정서조절과 관련된 기분조절장애
원인불병의 보행장애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피로
목차
1. 서론
1) 사례연구의 필요성
2) 사례연구의 목적
3) 문헌고찰
2. 간호과정
1) 대상자에 대한 일반적 정보
2) 주호소(chief complaint)
3) 현병력(history of present illness)
4) 과거력(past history)
5) 가족력(family history)
6) 정신상태검사(mental status exam)
7) 신체사정 및 검사(임상병리검사 및 심리검사) 결과
8) 질환에 대한 치료(약물 및 요법들)
9)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10) 간호과정(진단별로 2개 작성)
3. 결론 및 제언
1) 사례보고서 요약과 결론
2) 최신 치료경향과 제언
3) 느낀 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사례연구의 필요성
조현병은 정신과 질환 가운데서 우울증에 이어서 두 번째로 많은 병이며 실습을 갔던 신애정신병원에서도 대부분의 환자들이 조현병을 가지고 있었다. 조현병에는 여러 증상이 있지만 이번 케이스 대상자는 기분조절장애로 인해 주변인들에게 화를 내거나 기분이 급속도로 변하는 모습을 가지고 있고 이로 인해 같은 병동에서 생활하는 환자들이 불편감을 느끼고 환자 스스로도 힘겨워하는 모습이 보였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례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 케이스를 선정하게 되었다.
2. 사례연구의 목적
케이스의 대상자는 주진단으로 Schizophrenia undifferentiated type이 있으며 부진단으로는 Schizoaffective disorders, crippled disorder이 있다. 현재 가지고 있는 증상으로는 기분조절장애, 보행장애, 피로 등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대상자의 불편감을 줄이고 조현병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간호활동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3. 문헌고찰
1) 정의
조현병은 10대 후반에서 20대의 나이에 시작하여 만성적 경과를 보이는 정신적으로 혼란된 상태, 현실과 현실이 아닌 것을 구별하는 능력의 약화를 유발하는 뇌 질환이다. 이 질환은 100명 중 1명이 걸리는 흔한 질환이며 모든 계층의 사람이 걸릴 수 있다. 남녀의 발병 빈도는 비슷하며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참고 자료
약학정보원 의약품 사전
https://www.health.kr/main.asp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8
신은진, 「약 안 듣는 조현병, 치료 효과 높일 방법 찾았다」, 2022.09.13.
https://v.daum.net/v/20220913210017170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02, Edu First
원종순 외 공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