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감염병 6단계 보고서 [조류독감]
- 최초 등록일
- 2024.12.05
- 최종 저작일
- 2024.10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감염병 6단계 보고서 [조류독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p.3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p.4
1. 감염병 발생과정 6요소
(1) 1단계 – 병원체
(2) 2단계 – 병원소
(3) 3단계 – 병원체 탈출
(4) 4단계 – 전파
(5) 5단계 – 침입
(6) 6단계 – 숙주의 감수성
2. 어느 부분을 차단하여야 하는가
Ⅲ. 결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p.6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계절에 따라 유독 유행하는 감염병들이 있다. 예를 들면 봄에는 홍역, 여름에는 일본뇌염, 가을에는 렙토스페라나 쯔쯔가무시증, 겨울에는 조류독감이나 인플루엔자가 있다. 현재 11월로 겨울이 다가오고 있는 계절이기에 본 리포트를 통해 날이 추워지면 이주하는 겨울철새를 통해 농가의 닭, 오리 등에 전염되어 인수공통 감염되고는 하는 조류독감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메르스, 코로나 19 이후 감염병에 위협을 느끼는 사람들이 마스크를 쓰고 손을 자주 씻으면서 감염병을 예방 및 자가 관리할 수 있게 되었지만 감염병의 발생 요인과 차단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본 리포트에서는 감염병의 발생 과정을 6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또한 AI가 발생했을 시 가장 효과적인 차단법에 대하여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2. 문헌고찰
1. 조류독감이란?
조류독감은 닭, 오리, 야생 조류에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vian influenza virus)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며 드물게 사람에게서도 감염증을 일으킨다.
2003년 말부터 2008년 2월까지 고병원성(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A, H5N1)가 인체에 감염된 사례가 640건 이상 보고되어 있다. 이 중 많은 경우는 조류독감의 원인이 된 조류와 연관이 있는 사람들에서 발생하였으며, 사람 사이의 감염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인체에 감염된 경우 높은 사망률을 보여, 향후 조류독감이 사람의 전염병으로 바뀔 가능성에 대해 세계 각국의 의학계가 주시하고 있다.
2013년에는 중국에서 H7N9이 유행하여 400 명 이상이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고 자료
성과기반 지역사회간호학 제 5판 (2023, 퍼시픽북스)
서울대병원 조류 인플루엔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35
연합뉴스 사상 최악 조류독감…미국 정부, 닭에 백신 접종 검토
(2023, https://www.yna.co.kr/view/AKR2023030708430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