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간호과정-고체온
- 최초 등록일
- 2024.12.03
- 최종 저작일
- 2022.05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목차
Ⅰ. 서 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및 임상증상
3. 진단검사
4. 치료 및 간호중재
Ⅲ. 간호사례
1. 간호사정도구
2. 간호과정적용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 대상자분들을 살펴보던 중 수술한 대상자분이 병동으로 돌아오셨고 Vital을 잰 후, EMR을 살펴보니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THRA) 수술을 하신 분이셨다. 병원 실습 나오기 전 성인간호학 수업에서 교수님께서 언급하신 것이 기억났고 이 대상자분을 더 알고 싶은 생각이 들어 대상자로 선정하게 되었다.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 AVN(Avascular necrosis)[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
무혈관성 괴사란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뼈가 썩는 병이다. 대퇴골두, 수부 주상골, 대퇴골 과상 돌기(무릎뼈), 상완골두(어깨뼈) 등에서 발생한다. 이 중에서 가장 흔한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는 허벅지 뼈, 즉 대퇴골의 머리 부분에 피가 통하지 않아 이 부분이 괴사하는(죽는) 병이다. 1925년 처음 보고된 이래 점차 그 빈도가 증가하고 있지만, 그 원인과 발생 기전이 명확하지 않다. 대부분 30~50대에게 발생하고,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약 60%에게 양측성으로 발생한다.
2. 원인 및 임상증상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를 일으키는 위험 인자로는 음주, 부신피질호르몬 투여, 고관절 부위 외상, 잠수병, 통풍, 혈청지질 이상, 만성 신질환, 만성 췌장염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음주와 부신피질 호르몬제가 전체 원인의 90% 정도를 차지한다.
이 질환은 최근 젊은 사람들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그 이유는 과도한 음주, 각종 피부 질환, 장기 이식 등이 증가함에 따라 스테로이드제를 많이 복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술은 혈관 내 지방을 쌓이게 하고, 심하면 대퇴골두에 혈액이 통하지 않게 하여, 결국 뼈를 죽게 한다. 그러나 아직도 원인 불명의 특발성 괴사증이 발하고 있다.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증상백과 - 증상에 대한 모든 것(AVN)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 정보 – 신장기능검사(Renal function test)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2019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018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2018
약학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