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예비이론
4. 실험 도구 및 시약
5. 실험 방법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험 제목] 향료 합성
[실험 목적]
에스터화 반응에 대해 공부하고, 이를 이용하여 향료를 만들어 본다..
[예비 이론]
• 기초 실험 이론(실험과 관련된 모든 이론들)
에스터란 유기물의 구조 중에서 에스터 작용기(-COO-)가 있는 화합물을 말한다. 에스터는 꽃, 과일, 식물 등 생물체에 흔히 존재하는 물질로 분자량이 작은 것은 휘발성이 꽤 크며 아름다운 향기와 맛을 가지고 있다. 우리 주변에서 향기를 내는 물질들 중 상당수는 에스터 화합물이다.
에스터는 알코올과 카복실산으로부터 합성할 수 있는데 반응할 때 물과 함께 에스터가 생성되며, 이 반응을 에스터화 반응이라고 한다. 이 반응을 일반적인 화학반응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때 "H" ^+는 촉매로써 작용한다. 이 반응의 역반응은 가수분해 반응, 비누화 반응에 해당한다. 이 반응은 가역반응이므로, 만들어진 에스터가 다시 알코올과 유기산으로 분해되지 않도록 해줄 필요가 있다. 이 반응에서 유의할 점은 알코올의 탄소와 산소 결합은 그대로 유지된 채로 에스터에 남아 있게 되고, 카복실산의 아실기가 알코올의 수소 원자 대신 결합된 형태라는 점이다. 정반응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생성된 물 분자를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촉매로 넣어준 진한 황산이 가지는 탈수 작용이 그 역할을 해준다.
하지만 황산의 탈수 작용은 그 농도에 따라서 매우 격렬해질 수 있으므로, 진한 황산의 양은 반드시 소량 넣어주도록 하고, 시약의 양 역시 과량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반응을 진행하여야 한다.
산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도 탈수반응을 통해서 카복실산을 에스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펩타이드 합성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강산이나 강염기의 사용없이도 효과적으로 카복실산을 에스터로 변환할 수 있다. 한 예로, 탈수제로 DCC, 염기로는 DMAP 를 함께 사용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