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정맥염에 대한 자료입니다.
논문에 근거하여 임상에서 쓰는 것으로
보기쉽게 정리하였습니다. 신규간호사님들
쓰시기 좋습니다.
목차
1) 질병명
2) 원인 및 위험요인
3) 증상 및 징후
4) 진단적 검사
5) 간호 중재
6) 참고문헌
7) IV drug insertion 부작용 종류
본문내용
1) 질병명 : Phebitis
→ 정맥염은 정맥에 생기는 염증으로, 표재성 정맥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정맥염은 종종 혈전증과 함께 발생하며 혈전정맥염 또는 표재성 혈전정맥염이라고 한다. 심부정맥 혈전증과 달리 표재성 혈전정맥염으로 인해 혈전이 분해되어 조각조각 폐로 운반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 삽입된 주사바늘과 접촉한 정맥의 내벽사이에 섬유소가 증식되어 주위에 섬유소 막을 형성하며 때로는 광범위하게 혈전이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송경애 등,2008,p.494).
*** 말초 정맥관(Peripheral Venous Catheter: PVC) 삽입은 입원 환자에게 가장 일반적인 침습적 처치이다(Tan et al., 2017).
PVC는 수액, 항생제, 수혈, 전해질 교정, 비 경구 영양제 투약 등을 위해 삽입되어 이용되는 보편적인 간호행위이다(Dychter et al.,2012). (Jacobson & Winslow,2005).
2) 원인 및 위험요인
→ 정맥염이 연령이나 성별과는 관계가 없다는 다른 연구결과 와는 달리 Nassaji-Zavareh
& Gjorbani(2007)의 연구에서는 60세 이상의 연령이 60세 미만이거나 60세의 연령보다 정맥염 발생율이 5.2%(OR 1.18,95% Cl0.79-1.74)로 높은 정맥염 발생율을 나타냈다고 보고하였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