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탈시설화, 탈의료화 및 정상화의 개념 및 비판과 정상화를 저해하는 요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장애인의 개념 및 탈시설화, 탈의료화 및 정상화의 개념
Ⅱ. 본 론
1. 탈시설화, 탈의료화 및 정상화의 개념에 대한 생각 및 비판제기
Ⅲ. 결 론
1. 정상화 실현을 저해하는 7가지 요소
Ⅳ. 나의 생각 및 제언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애인이라 함은 장애를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그러나 장애인이라는 개념이 단순한 것이 아님은 장애의 개념과 정의가 매우 복잡하고, 사회적 여건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며, 장애 및 장애인의 정의는 그 나라의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여건 및 수준에 따라 변화했다. 이로 인해, 장애인 실태조사에서 나타나는 장애인구와 장애 출현율은 이러한 장애 및 장애인의 정의에 따라 변화하고, 장애인에 대한 개념도 절대적 개념이 아니라 상대적 개념이다. 이러한 장애인 및 정상인, 모든 국민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는 것이 사회복지, 장애인 복지이며, 인간의 존엄성 확보, 인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의 보장, 정상화, 사회적 통합 등으로 세분화되어 장애인복지 이념이 설명되어지고, 변화하고 있다.
이 중에서 우리는 장애 관련 이론인 탈시설화, 탈의료화 및 정상화의 개념에 대해 먼저 살펴 보고, 이에 대한 필자의 생각과, 정상화의 실현을 저해하는 요소들에는 어떠한 실례들이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장애 관련 이론을 좀 더 깊이 알아보려한다.
서구 여러 나라에서는 20세기 중반까지 사회복지 수용시설의 운영과정에서 대규모화, 집단화, 격리 등의 변화를 겪으면서 입소자의 인권과 권리를 통제하고, 장기간 수용된 입소자의 사회적응능력이 떨어지면서 요보호 대상자의 가족과 사회로부터 비판을 받기에 이른다. 이러한 사회적인 비판과 함께 장애인의 권리를 확보하고 더 나은 주거환경 속에서 자유롭고 보다 나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미국을 비롯한 서구사회에서 1960년대부터 시작되어왔고, 전통적인 방식인 수용위주의 장애인 복지 정책의 단점이 부각되어 강조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이러한 장애인의 격리 수용에 대한 비판과 수용시설이 갖는 문제점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장애인 복지 분야는 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을 강조하는 새로운 이념적 흐름이 나타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각광
참고 자료
손광훈, “장애인 복지론”, 현학사, 2004
홍봉수, “사회복지개론”, 공동체, 2005
김종명 外,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2013
이병화 기자, 『장애인복지와 생애정상화 운동의 미래』, 『장애인뉴스』, 2015.09.22,
출처 https://www.welvoter.co.kr/17061
이병화 기자, 『장애인 복지정책의 현황과 과제』, 『장애인뉴스』, 2019.10.28,
출처 https://www.welvoter.co.kr/33033
이현준 기자, 『경기도, 장애인 등 편의시설 특정감사. 공공건물 BF인증 추진 등 개선 요구』, 『한국장애인뉴스』 , 2024.01.03 출처 https://www.hkd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207374
박재석 기자, 『문혁, 탈시설은 장애인에게 ‘자유'』, 『한국장애인뉴스』, 2016.04.15
출처 https://www.hkd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5990
김종화 기자, 『장애인 불편한 한국, 갈 길 먼 ‘배리어프리’』, 『아시아경제』, 2024.04.01
출처 https://view.asiae.co.kr/article/20240401153053595116
이길준 기고, 『시각장애인 당사자로서 제주항공 이용에 있어 화가 났던 이유』, 『에이블뉴스』, 2024.03.29 출처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672
네이버 지식백과, 탈시설화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2009, 국립특수교육원)
네이버 지식백과, 정상화 원리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2009, 국립특수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