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 STEMI(심근경색)_CASESTUDY_성인건강간호학_간호진단3/간호과정2"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자료수집
2.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본 연구는 2024/09/30~2024/10/11 OOOO대학교OOOO병원의 단기병동(심장내과)에 입원 중인 신OO 환자를 대상으로 EMR 차트, 환자와 관련된 의료요원의 면담을 통한 자료수집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번 2주 실습기간 동안 OOOO대학교 OOOO병원 단기병동은 심장질환 환자가 주였지만 최근에는 소화기질환 환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였다. 주로 angina, myocardial infarction, alcoholic cirrhosis of liver with ascites 등의 환자가 입원 중이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심장질환 중에 가장 흔한 질환이며 2022년 기준으로 국내 사망원인의 2위, 전 세계 사망원인 1위로 선정되었다. 또한 10년 새 심근경색증을 54.5%이상 증가하는 경향으로 많은 사람들이 흔하게 겪을 수 있기에 예방과 치료에 적극적으로 힘을 써야한다고 사료된다. 이 질환은 심장혈관이 갑작스럽게 막혀 발생하는 응급질환으로, 증상 발생 시 즉시 119에 연락하여 즉각적인 치료를 하지 않을 시 생명과 직결된다. 그렇기에 심근경색 환자들의 입원치료나 경과관찰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심근경색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서 심장내과 간호사는 환자를 마주했을 때 적절하고 빠른 간호가 필요하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여 예방 하고, 증상과 검사를 통해 조기진단하고, 환자의 빠른 회복과 삶의 well-being 상태를 도모하기 위해 수준 높은 지식을 갖춰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가.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정의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폐쇄되어 손상된 심장근육의 일부가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고 혈액순환이 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급성관상동맥 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이라고 하며, 심장의 전기활동이 급격히 변하여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인 질환이다.
참고 자료
이영휘 외 15인(2020년), “성인건강간호학Ⅰ“, 학지사메디컬, p465~478
이영휘 외 15인(2020년), “성인건강간호학Ⅱ“, 학지사메디컬, p387~945
엄미란 외 8인(2023년), ”알기 쉬운 건강사정“, 학지사메디컬, p176~191
이은희 외 10인(2022).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pp.55-204
국제간호진단협회, (엮) T. Heather Herdman 외(2022년),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21-2023(제 12판)”, 학지사메디컬
이순용 기자. “[아는 것이 힘] 일교차 큰 환절기, 사망원인 2위 '심근경색증' 주의”, 이데일리, 2024.10.02.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8984&mediaCodeNo=257&OutLnkChk=Y
장종호 기자, “뻐근하고 쥐어짜는 통증 '심근경색증', 환절기 위험…5년새 환자 20% 증가”, 스포츠조선, 2024.09.26. https://sports.chosun.com/life/2024-09-26/*************8249002630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접속일: 2024.10.02. - 사진출처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접속일: 2024.10.02. - 사진출처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급성심근경색증’,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81, 접속일 2024.10.01.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급성 심근경색증’,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4580 접속일: 2024.09.30